건설/부동산

직방 이용자 10명 중 6명 "올해 하반기 집값 하락할듯"

신유진 기자VIEW 3,1972022.07.11 09:43

글자크기

직방 이용자 10명 중 6명은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한다고 전망했다. /사진=뉴스1
직방 이용자 10명 중 6명은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한다고 전망했다. /사진=뉴스1
직방 이용자 10명 중 6명은 올해 하반기에 집값이 하락한다고 예상했다.

11일 부동산플랫폼 직방이 지난 6월 20일부터 7월 4일까지 직방 앱 접속자 17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전체 응답자 61.9%는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한다고 전망했다.

지역별로 ▲서울(63.2%) ▲경기(63.7%) ▲인천(61.0%)에서 '하락'을 예상한다는 응답 비율이 60% 이상을 보였고 ▲지방 5대광역시(59.5%) ▲지방(58.0%)은 50%대로 나타나며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주택보유 여부에 따라 유주택자와 무주택자 모두 '하락'으로 전망한 가운데 무주택자가 하락(72.4%)이라고 답한 의견이 더 많았다.

2022년 전체(좌), 2022년 하반기(우) 주택 매매가격 전망. /그래픽=직방 제공
2022년 전체(좌), 2022년 하반기(우) 주택 매매가격 전망. /그래픽=직방 제공
응답자들이 올해 하반기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 이유로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 증가'가 63.9%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으로 인한 수요 감소(15.0%) ▲물가 상승 부담과 경기 둔화(12.1%)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 완화에 따른 매물 증가(4.7%) 등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집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한 응답자들은 '원자잿값 상승으로 분양가와 집값 동반 상승'(35.8%)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전·월세 상승 부담을 매수 전환 수요 증가(21.4%) ▲정부 부동산 정책 규제 완화 기대(14.6%) ▲신규 공급 물량 부족(11.8%) ▲교통, 정비사업 등 개발호재(11.0%)로 나타났다.

2022년 하반기 주택 전세가격의 경우 전체 응답자 중 40.7%가 '하락'을 전망해 '상승'(35.1%)이라고 응답한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월세는 전체 응답자 중 48.1%가 '상승'을 전망했다. '보합'은 29.2%, '하락'은 22.7%로 나타났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2022년 하반기 주택가격은 추가 금리 인상,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 등 외부적인 요인이 계속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매수 위축도 이어지면서 하향 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전세가격은 '상승'과 '하락' 혼조세 속에 신규 입주 물량에 따라 국지적인 차이를 보일 전망"이라고 밝혔다.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