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mo톡'은 MoneyS의 Mo, Mobility의 Mo에 토크(Talk)를 합친 단어입니다. 머니S 모빌리티팀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탈 것 관련 스토리를 연재하며 자동차 부품과 용품은 물론 항공 관련 정보도 제공하는 코너입니다.
![]() 디 올 뉴 그랜저 3.5 LPG /사진=박찬규 기자
|
대한LPG협회의 도움으로 '디 올 뉴 그랜저 스마트스트림 3.5 LPG' 모델을 시승했다. 경기도 파주에서 강원도 속초를 왕복하는 약 600km 이상의 코스에서 그랜저 LPG 모델의 승차감과 연비, 각종 첨단장비를 두루 체험했다.
강하고 부드러운 주행감각 '디 올 뉴 그랜저'는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가 선정한 2023 올해의차 대상을 차지할 만큼 뛰어난 상품성을 자랑한다. 동급 차종 중 가장 긴 휠베이스 등을 내세워 고급 세단 이미지를 한층 더 강화한 게 핵심이다.
이전 모델 대비 길이와 휠베이스가 45mm, 10mm 늘었다. 차 뒤범퍼부터 뒷바퀴 축까지의 거리인 리어 오버행은 50mm 길어졌다. 실내공간을 좌우하는 휠베이스는 2895mm에 달한다.
![]() 디 올 뉴 그랜저 3.5 LPG /사진=박찬규 기자
|
구형은 3.0ℓ LPG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235마력(PS, @6000rpm), 최대토크 28.6kg.m의 힘을 냈고 연비는 ℓ당 7.5km였다. 하지만 이번에 시승한 신형은 배기량이 늘었음에도 출력과 토크, 연비가 모두 향상됐다. 신형의 최고출력은 245마력(PS, @6000rpm), 최대토크 32.0kg.m, 연비 ℓ당 7.8km.
시동 버튼을 누르면 가솔린 모델보다 한 박자 늦게 시동이 걸린다. 과거 LPG모델에 비하면 엄청나게 개선된 것이지만 LPG차를 처음 접한 이라면 어색할 수 있다.
가속할 때는 폭발적으로 에너지를 뿜어내는 게 아니라 부드럽고 꾸준한 느낌이다. 가솔린 모델도 비슷한 특성을 보이는데 그보다 더 부드럽다. LPG연료가 가진 에너지(열가)가 같은 양의 가솔린보다 부족한 특성 탓이지만 차를 몰 땐 이런 특성 때문에 불편한 건 전혀 없다.
![]() 트렁크 매트와 커버를 모두 걷어내면 도넛 탱크가 보인다. /사진=박찬규 기자
|
코너링 느낌도 나쁘지 않다. LPG 탱크를 트렁크에 싣고 다녀야 해서 차 뒷부분이 불필요하게 움직이진 않을까 우려했지만 실제 주행 시엔 꽁무니가 잘 따라붙고 흔들림은 예상보다 크게 적었다.
HDA(고속도로운전자지원)기능은 장거리 운전에 큰 도움이 됐다. 설정한 속도와 도로 제한속도에 맞춰 앞차와의 거리를 조절하며 달리는 것은 물론 차로 가운데를 유지하는 데다 방향지시등을 켜면 해당 방향으로 스스로 차선변경까지 가능하다.
경제적이고 깨끗한 대형세단
![]() 디 올 뉴 그랜저 3.5 LPG /사진=박찬규 기자
|
LPG차는 각종 호흡기 질환 및 폐암의 원인이 되는 미세먼지(PM10)와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이 매우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차 유종별 질소산화물(NOx) 배출량 검사 결과 LPG차의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0.006g/km로, 경유차 배출량 0.560g/km의 93분의 1에 불과하다.
게다가 경유차에 의무 장착해야 하는 배출가스저감장치(SCR)가 불필요한 만큼 요소수를 주기적으로 넣을 필요가 없다는 점도 이점 중 하나다.
트렁크 바닥 아래에 LPG 탱크를 설치해 골프백이나 여행용 대형 캐리어 등의 화물도 싣기에 충분하다.
다만 낮은 시내주행연비는 아쉬웠다. ℓ당 5km대를 보였는데 고속도로에서는 9~10km까지 늘어났다. 시내주행이 잦다면 충전소를 자주 들락거려야 하는 점은 불편할 수 있겠다. 하지만 저렴한 연료비를 고려하면 경쟁력이 있어 보인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