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

MZ노조 만난 고용부장관 "근로시간 개편… 합리적인 방안 강구"

송은정 기자VIEW 1,0772023.03.22 15:34

글자크기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장시간 노동' 논란에 휩싸인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과 관련해 "현장의 우려를 불식시킬 보완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서울 성동구 KT&G 상상플래닛에서 열린 노동의 미래 포럼 발대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장시간 노동' 논란에 휩싸인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과 관련해 "현장의 우려를 불식시킬 보완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서울 성동구 KT&G 상상플래닛에서 열린 노동의 미래 포럼 발대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장시간 노동' 논란에 휩싸인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과 관련해 "공짜야근, 임금체불, 근로시간 산정 회피 등에 단호히 대처해 실근로시간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22일 뉴시스에 따르면 이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MZ노조 협의체인 새로고침 노동자협의회(이하 새로고침)와 간담회를 갖고 "정부의 근로시간 제도 개편안과 관련해 현장에 여러 우려가 있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이와 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주 근로시간 개편 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눈 데 이어 근로시간 제도를 포함, 노동시장과 노사관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에 대해 보다 폭넓은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장관이 새로고침을 만난 것은 지난 15일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그는 이 자리에서 "디지털 전환, 인구구조 변화 등으로 노동시장을 둘러싼 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며 "현행 획일적이고 경직적인 주 단위 (연장근로) 규제 방식은 노사의 근로시간 선택권을 제약한다"고 밝혔다. 이어 "연장근로 관리 단위를 노사 합의를 통해 월·분기·반기·연 단위로 운영하도록 선택지를 부여하면 노동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경우 주 최대 69시간까지 일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오면서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중심으로 '있는 연차를 다 쓰지 못하는 판에 근로시간만 더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 장관은 이에 대해 "그 과정에서 근로자의 건강권과 휴식권이 충분히 보장돼야 하고 포괄임금 오남용 등 정당한 보상을 하지 않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면서 "공짜야근, 임금체불, 근로시간 산정 회피 등에 단호히 대처해 실근로시간을 줄이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청년, 미조직, 중소기업 근로자 등과의 폭넓은 소통으로 현장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보완 방안을 강구하겠다"며 "우려되거나 보완이 필요한 점을 말씀해주시면 적극 검토하겠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미래 노동시장 주역인 2030 청년들을 중심으로 변화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정부는 변화를 꿈꾸는 미래세대를 위해 노동개혁 완수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