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불황에 고금리 여파가 겹치며 올해 한국의 주택가격은 -3.3% 수준까지 하락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4일 '주택시장 전망 및 주택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전년 대비 올해 주택가격은 전국 3.3%. 수도권 2.9%, 지방 4.5%의 하락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집값 상승기 무섭게 올랐던 서울 강남도 부동산 침체기의 하락세를 피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사진=뉴스1
|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최근 발표한 '주택시장 전망 및 주택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올해 주택가격 변동률이 지난해에 비해 -3.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수도권과 지방의 하락률은 각각 -2.9%와 -4.5%이며 '집값 불패 지역'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또한 -2.7%가량 떨어진다는 전망을 내놨다.
한경연은 주택시장 동향분석을 통해 지난 5년간 꾸준한 상승곡선을 그리던 한국 주택가격은 경기위축과 금리인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난해 하반기부터 하락 전환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9월부터 현재까지 주택가격은 전국 -8.0%, 수도권 -10.0%만큼 떨어졌다.
보고서는 2년 전인 2021년 하반기부터 이미 거래량 감소는 시작됐다고 분석했다. 과거 정부의 강력한 주택 규제 영향으로 '공황구매', '풍선효과'와 같은 부작용이 생겨 주택가격이 사실상 구매가 어려운 수준까지 상승했고, 여기에 고금리 여파가 더해지며 주택수요를 급격하게 위축시킨 것이 집값 하락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주택시장이 경착륙하게 될 경우 미미한 경기반등의 가능성마저 소멸할 수 있는 엄중한 상황임을 감안할 때, 주택시장 경착륙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낮추기 위해서라도 규제완화를 통한 주택시장 정상화를 신속하고 과감하게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