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만난 한 카드사 직원은 기자에게 이같이 토로했다. 1분기 업계 성적표가 공개된 가운데 대부분 카드사의 연체율이 올랐기 때문이다. 누가 잘했나를 따지기에 앞서 업계 전체적으로 연체율 등 리스크 관리가 시급해졌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카드사·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다. 카드사의 연체율은 일제히 1%대로 올랐고 저축은행의 평균 연체율은 5%대로 치솟았다. 2금융권은 여러 금융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가 많고 저신용자들의 이용이 많은 만큼 자칫 금융권 전반의 부실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의 시각도 나온다.
올해 1분기 실적을 발표한 주요 5개 카드사(신한·KB국민·삼성·우리·하나카드)의 평균 연체율은 1.23%로 전년 동기(0.83%)보다 약 0.40%포인트 올랐다. 신한카드 연체율이 1.37%, 삼성카드 1.1%, KB국민카드 1.19%, 하나카드 1.14%, 우리카드 1.35% 등 연체율이 모두 1%를 넘어섰다.
저축은행도 비상등이 커졌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지난 1분기 평균 연체율은 5.1%로 지난해 같은 기간(3.5%)과 비교해 1.6%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말(3.4%)과 비교하면 1.7%포인트 오른 수치다. 평균 연체율은 2016년말 5.8%에서 2018년 말 4.3%, 2020년 말 3.3%, 지난해 말에는 3.4%였지만 1분기 만에 0.8%포인트나 올랐다.
문제는 나아지기는커녕 앞으로가 더 문제라는 점이다. 현재와 같은 금리 수준이 지속되는 한 이자 상환 부담이 여전한 데다 '코로나 조치'가 종료될 예정이라 그동안 미뤄뒀던 리스크가 한 번에 몰려올 것이란 지적이다.
금융당국은 2020년 4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를 본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출의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조치를 결정했다. 대출 만기는 최대 3년, 원리금 상환은 최대 1년 미룰 수 있도록 했다. 그렇게 총 5번 조치가 연장됐고 그 마침표는 오는 9월 뒤에 찍힐 예정이다.
몇몇 전문가들은 이미 연체율 상승이 가시화된 상황인 만큼 9월 이후를 대비하기 보단 지금 당장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정부도 관리에 나선 상황이다. 빚 갚을 능력이 없는 소상공인을 위해 30조 규모의 '새출발기금'을 운용 중이다. 취약차주를 대상으로 원금감면 등 채무를 조정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지난달 말 기준 기금 채무조정 신청자는 2만3067명, 채무금액은 3조4805억원으로 집계됐다.
각 금융사들도 부랴부랴 대손충당금 쌓기에 나섰다. 당분간 영업전략도 외형성장에서 내실 다지기 등 리스크 관리에 방점이 찍힐 전망이다.
애써 외면한 코로나청구서의 시일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예고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선 정부, 각 금융사. 차주 모두의 대응이 요구된다. 정부는 조치 종료 후 위기에 놓인 이들을 위한 촘촘한 대책 마련을, 금융사는 선제적 충당금 쌓기로 리스크 흡수 능력을 더욱 길러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