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는 20일 전국 시군구·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민원 서류발급 서비스를 재가동한다고 알렸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동대문구청을 찾은 민원인들이 민원 업무를 보는 모습. /사진=뉴스1
|
행정전산망 마비 사태는 지난 17일 오전 발견됐다. 공무원 전용 전산망인 '새올 행정시스템'의 사용자 인증과정에 장애가 생기면서 접속이 불가능해졌다. 당일 점심 시간을 넘어서는 정부 온라인 민원서비스인 '정부24'마저 오류로 작동이 중지됐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번 사태의 원인은 행정전자서명(GPKI) 인증시스템 내 네트워크 장비인 'L4스위치'의 오작동이다. 행정전자서명은 행정기관 등에서 담당자의 신원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다. L4스위치 오류로 공무원들이 새올시스템에 접속할 수 없게 되면서 민원·복지 업무 등이 전면 중단된 것이다.
서보람 행안부 디지털정부실장은 지난 19일 정부 브리핑에서 "L4스위치에서 문제를 발견했다"며 "해킹과 관련해서는 정황이나 흔적이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장애가 발생한 장비에 대해서는 "노후화된 장비가 아니다"며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수십 대의 동일한 장비를 운영 중이고 다른 데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했다. "수시로 하는 정기점검에선 문제가 드러나지 않았고 최근에 한 점검이 (해당 장비에) 영향을 끼쳤다고도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사고를 막을 수 있는 백업 장비가 없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장비를 이중화해서 운영을 하고 있지만 이중화돼 있는 두 개의 장비가 순차적으로 문제를 일으켰기 때문에 장애가 발생한 것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고 답했다.
이번 사태의 정확한 원인은 현재 파악중이다. 행안부는 "정확히 무엇 때문에 L4스위치가 오류를 일으켰는지는 조사를 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장비가 낡은 것도, 정기 점검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도 아닌만큼 재발 방지를 위해선 정확한 원인 규명 및 재발 방지가 필요하단 시각이 많다. 해당 장비에 대한 조사에는 민관 전문가 10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