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오후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영정사진이 놓여 있다. 2021.2.15/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15일 오후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영정사진이 놓여 있다. 2021.2.15/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서울=뉴스1) 김상훈 기자,최은지 기자 = 청와대는 15일 오전 타계한 통일운동가 고(故) 백기완 선생 빈소에 김제남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이 찾아 조문하는 방식으로 조의를 표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김 수석은 이날 오후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진 백 선생의 빈소를 찾아 고인을 추모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청와대는 조화와 근조기 등을 보내려고 했으나 장례위원회측의 뜻에 따라 별도 대통령 명의의 조화 등을 보내지 못했다.

고인은 지난해 1월 폐렴 증상으로 입원해 투병 생활을 이어오다 이날 오전 입원 중 향년 89세로 유명을 달리했다.


1932년 황해도 출생인 백 소장은 1950년대부터 사회운동 전반에 나섰으며, 1964년 한일회담 반대운동에 참여한 뒤 박정희·전두환 독재정권 시절 민주화운동에 앞장섰다.

그는 1974년 2월 긴급조치 1호의 첫 위반자로 옥고를 치렀다.1979년과 1986년에도 'YWCA 위장결혼 사건' '부천 권인숙양 성고문 폭로대회' 등을 주도한 혐의로 투옥된 바 있다.


민중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 노랫말의 모태가 된 장편시 '묏비나리'의 원작자이기도 한 백 소장은 1987년 대선에서 독자 민중후보로 출마했으며, 1992년에도 출마한 바 있다. 이후 본인이 설립한 통일문제연구소의 소장으로 있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