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서초동 현자'는 옳았다…'신림동 펠프스'는?
전은지 기자
4,906
공유하기
|
서울에 쏟아진 물폭탄에 침수된 차 위에서 가만히 앉아 구조를 기다려 화제가 된 이른바 '서초동 현자'가 취한 방식이 '적절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영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지난 9일 오후 MBC라디오 '표창원의 뉴스하이킥'에 출연해 "물을 헤치고 대피하기 어렵다면 차량 지붕이나 높은 곳으로 올라가 구조를 기다리는 게 안전하다"고 밝혔다. 그는 "폭우가 쏟아지는 상황에서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때 운전을 무리하게 하는 것 자체가 굉장히 위험하다"며 "침수 여부를 떠나 운전을 안 하는 것이 좋고 바퀴가 이미 잠길 정도라면 사실상 차량은 포기하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
이 교수는 "차량을 무리하게 운전하고 차량과 같이 이동하려다가 대피할 시점을 놓치거나 위험에 처할 수 있기 때문에 빨리 차량에서 나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는 게 좋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차를 이탈할 때도 키를 꽂아놓고 문을 잠그면 안 된다"며 침수 이후 복구 중 차량을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배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침수된 도로에서 맨몸에 수영모와 바지만 입은 채 수영한 '신림동 펠프스'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 교수는 '신림동 펠프스가 감전되거나 피부병을 앓을 우려는 없나'라는 질문에 "생존을 위해 부득이하게 수영한 것이라면 어쩔 수 없는 불가피한 조치"라고 답했다.
그러나 "본인의 수영실력 혹은 본인의 흥미에 의해서 이런 상황에서 수영을 한다는 것은 개인 안전이나 또 주변의 여러 재난에 대처하는 다른 분들의 입장에서 봤을 때는 불편한 상황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여러 가지 위험 상황도 우려되고, 이를 보고 따라 하는 분들도 생겨나는 것 자체가 굉장히 안 좋은 현상이기 때문에 가급적 이러한 흥미 위주의 행동들은 안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