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한전·스탠다드에너지, 차세대 ESS 솔루션 개발 협력
김동욱 기자
공유하기
|
롯데케미칼, 한국전력공사, 스탠다드에너지가 기존 에너지저장장치(ESS)의 한계를 극복하는 차세대 솔루션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1일 한전, 스탠다드에너지와 '바나듐이온배터리 활용 차세대 ESS 솔루션 연구개발 및 세계최초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차세대 ESS 솔루션을 연구개발하고 상용화 및 해외 진출하는 데 협력하는 게 골자다. 소규모 독립형 전력망 체계인 마이크로그리드와 에너지밸리 등 에너지 신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ESS 실증 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롯데케미칼은 ESS 소재 국산화를 위한 연구 및 개발을 담당한다. 스탠다드에너지는 바나듐이온배터리를 활용한 ESS 솔루션 개발 및 상용화를 추진한다. 한전은 배터리 성능평가 및 실증 등 연구·개발(R&D)을 공동 추진하고 해외 진출을 위한 국제표준 인증, 해외 ODA 사업, 국제 전시회 참가 등을 지원한다.
ESS는 전력계통의 부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해 전력시장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장치다. 발전량이 많거나 전력 수요가 적을 때는 전력을 저장했다가 발전량이 적거나 전력 수요가 많을 때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발전량이 날씨의 영향을 받는 신재생 에너지의 경우 ESS를 활용해야만 발전량의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
바나듐이온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물 기반 전해액을 사용해 발화 위험성이 원천적으로 차단된 배터리다. 높은 안정성과 뛰어난 내구성을 바탕으로 고효율·고출력이 가능하다. 산업용, 가정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이 기대되는 ESS의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황민재 롯데케미칼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새로운 사업을 위한 소재, 배터리, ESS 실증까지 밸류 체인 완성이란 차원에서 의미 있는 업무 협력"이라며 "차세대 ESS 시장에서 선도적인 모델 창출을 위해 바나듐 액체전극, 플라스틱 소재 등 배터리 고도화에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동욱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산업 1부 재계팀 김동욱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