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러리 플러스(+)'(국립중앙도서관 제공)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국립중앙도서관은 인공지능(AI) 등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도서관의 새로운 역할을 모색하고, 미래 전략을 선도적으로 제시하고자 '라이브러리 플러스(+)'를 창간했다.


이번 간행물은 국립중앙도서관 개관 80주년을 맞아 기획됐다. 기술과 도서관의 접점을 살피고 지식 큐레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비전을 담고 있다.

'라이브러리 플러스'는 AI를 비롯한 최신 기술을 도서관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천적인 가이드와 전략을 제공하는 준학술형 간행물을 지향한다. 특히 창간호는 '생성형 AI와 도서관'을 주제로 한다. 이 기술이 정보 서비스, 자료 조직, 이용자 접근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조망한다.


이번 창간호에는 맹성현 태재대학교 부총장 등 국내 1세대 AI 전문가와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 등 해외 전문가들이 집필에 참여해 전문성을 더했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 소속 실무자들이 직접 수행한 지능형 검색 파일럿 프로젝트의 성과도 소개하며 현장감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주요 수록 내용은 생성형 AI 시대 도서관의 역할을 조망하는 '담론', AI 리터러시 등 윤리적 통찰을 담은 '인사이트', 북미 도서관의 생성형 AI 활용 현황을 소개하는 '해외 동향' 등이다.


김희섭 국립중앙도서관 관장은 "'라이브러리 플러스'는 AI 시대에 걸맞은 도서관의 변화 방향을 제시하고, 기술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새로운 지식 경험을 넓혀야 한다는 비전을 담고 있다"며 '이 간행물이 앞으로 도서관이 미래를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데 나침반 역할을 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라이브러리 플러스'는 국립중앙도서관 누리집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앞으로도 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도서관과 기술의 융합이 만들어갈 미래를 지속적으로 탐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