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9일 촬영한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아파트('올림픽파크 포레온') 재건축 현장. /사진=신유진 기자
국토교통부는 1·3 대책을 통해 강남3구(강남·송파·서초)와 용산구를 제외한 모든 규제지역을 해제하고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을 줄였다. 특히 분양가 12억원 이상 아파트에 적용하던 중도금 대출 규제를 폐지하면서 둔촌주공 84㎡(이하 전용면적)도 중도금 대출이 가능해졌다. 1·3 대책을 '둔촌주공 구하기 대책'이라고 해석한 이유다.
━
기대감 커진 조합━
지난 1월9일 서울 강동구 둔촌동에 위치한 둔촌주공 아파트 재건축 사업('올림픽파크 포레온') 공사 현장을 찾았다. /사진=신유진 기자
모델하우스와 신호등 하나를 두고 마주 보는 둔촌주공 조합 사무실 역시 드나드는 인적이 없었다. 청약을 앞뒀던 지난해 말과는 대조적인 분위기였다. 다만 조합 관계자들이 모인 사무실 분위기는 기대감 탓인지 밝았다.
한 조합 관계자는 "부동산 규제 완화로 계약률이 올라가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며 "완판까지 이어진다는 얘기도 있어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규제 전후로 조합 내 분위기도 많이 달라지긴 했다"며 "정부의 규제 완화가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고 자신했다.
━
"분양권 팔까요?"━
지난 1월 9일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조합 사무실을 찾았다. /사진=신유진 기자
지역 중개업소에는 벌써부터 분양권 전매를 묻는 당첨자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일부에선 이미 웃돈(프리미엄)이 1억원 정도 될 것이라며 분양권 매매를 부추기는 분위기도 감지됐다.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당첨자라며 전화를 걸어온 사람들 중엔 상당수가 계약할 것이라고 하면서도 입주까지 계약을 유지할지, 분양권으로 되팔지를 묻는 문의도 꽤 있다"고 귀띔했다. 다른 중개업소 관계자는 "정당계약 기간 내 계약은 하되, 오는 2월9일로 예정된 동·호수 추첨 결과를 본 후 계약 유지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당첨자도 있다"며 "예비 순위를 받은 이들의 문의도 온다"고 설명했다.
일부 공인중개업소 문엔 '매매 13억', '매매 14억', '추분(추가분담금) 1.5억·1.9억 로열동, 로열층' 등 조합원들의 분양권 매매 관련 전단지가 붙어있다.
━
'떴다방' 등장… "대출이자 부담에 분양권 넘길 듯"━
지난 1월9일 촬영한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 현장. /사진=신유진 기자
청약 당첨자들을 대상으로 지난 3일부터 시작된 정당계약은 지난 17일까지 진행됐다. 분양가는 84㎡의 경우 12억3600만~13억2040만원 선으로 1·3 대책에 따라 주택담보대출비율(LTV) 70%까지 올랐고 중도금 대출도 모두 가능해졌다.
지난 18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둔촌주공 일반분양 계약률은 약 70%로 추정됐다. 일반분양 물량 4768가구 중 약 1400가구가 미계약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용면적과 타입에 따라 계약률 편차도 컸는데 소형 타입은 계약률이 낮았고 중형 타입은 계약률이 90%를 넘어 가장 높았다. 대형 평형으로 보는 84㎡ 일부 타입은 계약률이 절반을 넘기는 데 그쳤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선방했다는 의견과 실패했다는 평가가 엇갈렸다. 부동산 경기 전망이 안 좋은 상황을 감안하면 선방했다는 의견과 대대적인 대출 규제 완화에도 계약률이 기대보다 낮았다는 시각이 있다. 정확한 계약률은 무순위 청약이 진행될 때 공개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