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개편은 시민들의 대중교통 불편 해소와 도시 공간구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효율적인 환승 중심 교통망과 맞춤형 노선 체계 구축을 핵심으로 한다.
시는 지난 2022년 12월부터 △역사 중심 환승 체계 구축 △지·간선 체계 정비 △수요응답형 버스(똑버스) 확대 도입 △학생 통학환경 개선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관련 용역을 수행해 버스노선 개편안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2023년부터는 △태전동 굴다리 하부도로 경유 노선 개편 △퇴촌권역 노선 조정 △교통 소외지역 대상 '똑버스' 운영 △학생 전용 통학순환버스 도입 등 선 시행을 통해 시민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이번 본격 개편을 통해 기존 일반형 시내버스 97개 노선은 40개로 대폭 단순화되고 부족한 구간은 마을버스 및 수요응답형 똑버스로 보완할 예정이다.
특히, 장지·탄벌, 태전·고산 지역에 총 7대의 똑버스가 새롭게 투입되며 송정지구 도시개발에 따른 추자동 민간 차고지 이전과 연계된 노선 재조정도 함께 이뤄진다.
또한, 광역버스 운행 여건도 개선된다. 출퇴근 시간대 탑승 실패가 잦았던 △3201번은 하루 2회 △G3202번은 7회 증회 운행돼 태전·고산 지역 주민의 통근 불편 해소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는 광주시가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에 수 차례 건의하고 실무협의를 이어온 결과로 대광위가 해당 지역의 개선 필요성을 수용해 이뤄진 성과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