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진관사 태극기(국가유산청 제공)


(서울=뉴스1) 정수영 기자 = 강한 독립 의지를 보여주는 유물 '서울 진관사 태극기'를 비롯한 항일유산 110여 점을 선보이는 전시가 열린다.


국가유산청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오는 12일부터 10월 12일까지 서울 중구 덕수궁 돈덕전에서 특별전 '빛을 담은 항일유산'을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근대기 항일 독립유산을 통해 광복의 의미를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시는 개항기부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광복에 이르기까지 시대별 항일유산이 담고 있는 역사를 총 5부로 나눠 소개한다. '자주구국의 유산', '민중함성의 유산', '민족수호의 유산', '조국광복의 유산', '환국의 유산' 등이다.

주요 전시품으로는 지난해 7월 일본에서 환수한 '한말 의병 관련 문서', 지난 4월 개인 소장자가 경매를 통해 환수해 온 안중근 의사의 유묵 '녹죽'(綠竹), 대한제국 주미공사 이범진의 외교일기 '미사일록'(국가등록문화유산),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국제연맹에 제출한 역사서 '한일관계사료집' 등이 처음 공개된다.


대한제국 외교 기록물 '미사일록'(국가유산청 제공)


이와 함께 우리나라 사찰에서 최초로 발견된 일제강점기 태극인 보물 '서울 진관사 태극기', 일제강점기 유럽에서 독립운동을 주도한 서영해의 외교 활동을 보여주는 '독립운동가 서영해 자료'(국가등록문화유산) 등 전국에 흩어져 있던 항일유산이 한자리에 모인다.

한편 오는 14일부터 16일까지 3일간 덕수궁 돈덕전 아카이브 실에서 이번 특별전과 연계한 부대행사도 열린다.

14일에는 '항일독립운동과 문화유산'을 주제로 한 학술 세미나, 15일 황선익 국민대 교수의 '빛을 담은 항일유산 전시를 말하다'와 16일 최태성 한국사 강사의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그리고 광복에 미친 영향'을 주제로 대중 강연이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