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전문가들은 급락장이 올 경우 대규모 반대매매로 시장 충격이 증폭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1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 10일 기준 국내 신용융자 잔액은 26조119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21년 9월 찍었던 종전 최고점(25조6560억원)을 뛰어넘는 수치다. 하지만 이전과 달리 현재 신용융자를 중단한 증권사가 단 한 곳도 없다.
신용융자란 개인투자자가 보유 주식이나 현금을 담보로 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것을 말한다. 일명 '빚투(빚내서 투자)'의 핵심 지표인 셈이다. 최근 국내 증시가 상승세를 타면서 개인들이 레버리지 투자에 적극 나선 결과로 해석된다.
이처럼 증권사들이 신용융자 규모 급증에도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데는 증권사의 자본력이 크게 늘어나서다.
올해 6월말 기준 자기자본 상위 10개 증권사의 총 자기자본은 69조8729억원에 달한다. 이는 2021년과 비교해 34.2% 증가한 규모다. 특히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각각 10조원을 상회했으며, 대신증권은 4년 만에 자기자본이 두 배 가까이(91.4%) 급증했다.
이는 2021년 증시 호황기에 쌓아둔 이익금에 더해, 최근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 인가를 목표로 단행된 대규모 유상증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현행 금융투자업 규정은 증권사가 자기자본의 100%까지 신용공여(대출)가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자기자본이 70조 원에 육박하는 현재, 이론적으로는 약 70조원까지 신용융자가 가능한 셈이다.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자기자본의 60% 선에서 신용공여 규모를 관리하고 있어, 현재의 26조 원 수준은 아직 충분히 '여유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증권사 입장에서는 신용융자 확대가 이자 수익 증대로 직결된다. 2021년 빚투 급증기에 증권사들이 막대한 이자 수익을 거둔 것처럼, 올해도 실적 개선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26조원이 넘는 신용융자는 시장 변동성을 크게 증폭시킬 수 있는 뇌관이다. 주가가 오를 때는 수익이 확대되지만, 급락장에서는 연쇄적인 손실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특히 신용융자로 주식을 산 투자자는 일정 담보비율을 유지해야 한다. 주가가 떨어지면 담보가치가 줄어들어 증권사들이 강제로 보유주식을 매각하는 반대매매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주가를 더욱 끌어내리는 악순환을 만든다. 과거 증시 조정기에도 대규모 반대매매가 발생해 일반투자자들에게 큰 투자 손실을 안겼다.
무엇보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를 강조하는 상황에서, 증권 신용융자의 급증은 새로운 부채 리스크로 떠오르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만큼 가시적이지 않지만, 개인들의 실질적인 부채 부담을 키우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공격적인 빚투가 확산되면서, 투자 실패 시 개인 재무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