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의원은 지난 13일 제2차 정례회 시정질의에서 시가 투자가 완료된 것처럼 홍보한 투자 협약의 실효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의했다.
시정질의에 나선 정 의원은 "고양시는 업무협약 또는 투자의향서 체결을 마치 투자가 완료된 것처럼 홍보했다"며 "현재까지 체결된 업무협약 또는 투자의향서는 총 몇 건이고 총액이 얼마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이에 고양시는 "국내외 기업 및 기관과 업무협약(MOU) 74건, 투자의향서(LOI) 132건, 총 206건의 투자유치 관련 협약을 체결했다"며 "협약서상 명시된 예상 투자액은 총 약 7조1000억원 규모"라고 답변했다.
그러나 정 의원이 "고양시가 자랑하는 206건, 7조1000억원 규모의 투자 관련 성과 중 지난 3년간 실제 투자가 이뤄진 투자 금액이 얼마인가"라고 재차 묻자, 이동환 고양시장은 "실제 투자가 이뤄진 단계가 아님을 널리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고 답하며, 실질적인 투자 유치 실적이 전무함을 사실상 인정했다.
정 의원은 시가 추진한 부실 협약 사례를 구체적으로 지적했다.
2023년 8월 발족한 지 5일 된 국제디지털추진위원회와 1조3000억원원 투자의향 협약을 맺었고, 2024년 3월에는 직원 3명 규모의 영업 법인으로부터 북경자동차와 4조원 규모 업무협약을 맺었다는 것.
실제로 국제디지털추진위원회는 고양시와 협약 발표 이후 2년3개월이 넘도록 언론에 노출된 활동 내역을 찾아볼 수 없고, 이동환 고양시장도 답변을 통해서 "국제디지털추진위원회와 협약 내용은 7조1000억원 집계에서 제외했다"고 시인했다.
또한 북경자동차는 고양시와 협약 발표 직후 해당 협약 사실을 '사실무근'이라며 부인했는데도, 이동환 고양시장은 직원 3명 규모의 한국 법인에 대해 "GOMSD는 북경자동차 계열사"라는 주장을 이어갔다.
정민경 의원은 이어 2024년 10월 일본의 '나이티'라는 업체와 300억원 규모 투자의향서 체결도 지적했다.
정 의원은 "해당 회사는 공개된 재무제표조차 없고 가정집 아파트로 주소지가 되어 있는 기업"이라며 투자의향서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