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은 전년 동기(4805억원) 대비 19% 감소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465억원·506억원) 대비 적자(당기순손실 602억원)로 돌아섰다.
제주항공은 3분기 원달러 평균환율 상승으로 항공기 임차료·정비비 등 달러 결제 비용이 늘었고 중단거리 노선 공급 증가에 따른 가격 경쟁 심화가 실적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일본 지진설 여파로 전년 대비 일본 노선 성수기 효과 약화와 추석 연휴가 10월로 넘어간 점도 수익성에 부담이 됐다.
제주항공은 올해 기단 현대화와 구매기 확대를 중심으로 체질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2023년 도입한 B737-8 2대를 시작으로 올해 계획된 6대 도입을 모두 완료하며 차세대 항공기 편성을 확대했다.
보유 항공기 43대 중 구매기는 13대로 전체의 30%, 차세대 항공기 비중은 18.6%(8대)에 달한다. 경년 항공기(제작일 기준 20년 넘은 항공기)를 순차적으로 반납하고 신규 항공기를 구매 도입하는 방식으로 연간 약14%의 운용 비용 절감을 기대하고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경쟁이 심화되는 환경에서도 기단 현대화와 구매기 확대를 중심으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며 "지속 가능한 이익구조를 구축하고 실적 개선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