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시장 상장을 기반으로 신공장 증축과 생산시설 확충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 글로벌 연성소재 가공 전문기업으로 발돋움하겠습니다."
김세영 세호로보트 대표(사진)는 19일 여의도의 한 중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포부를 밝혔다.
이날 김 대표는 주요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간담회를 갖고, 신공장 건축과 생산시설 확충, 연성소재 자동화 장비 개발 및 라인업 확대 등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업공개(IPO)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지난 1996년 설립 이후 국내 연성소재 자동화 장비시장을 선점하며 끊임 없는 블루오션 창출로 시장을 선도해오고 있는 세호로보트는 자동화장비 제어장치기술, 고정밀 부착 및 가공용 영상처리기술 등을 독자적으로 개발, 이를 적용한 장비 개발 솔루션을 자체 보유하고 있다. 또 이러한 업계 최고 기술력을 바탕으로 높은 진입장벽을 구축해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특히 국내 15개, 해외 3개의 자동화장비 기술 관련 등록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체 직원수의 약 30%에 해당하는 자체 연구인력과 총 11억원의 연구개발 비용을 확보하는 등 꾸준한 제품 설계 및 개발에 힘쓰고 있다.
세호로보트는 PCB 라우터(Router), 가이드홀펀쳐(Guide Hole Puncher), 비젼프레스(Vision Press) 등 다수의 FPCB 및 터치스크린패널(TSP) 자동화 장비 국산화를 통해 국내 연성소재 자동화장비 산업을 이끌어오고 있으며, 향후 플랙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 반도체, LED 분야 사업군 다각화를 위한 연구개발 및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스마트기기 수요증대와 FPCB, 터치스크린패널의 고성능화, 고집적화에 따른 전자동화 공정의 수요 확대에 발맞춰 스마트기기용 윈도우 글라스 가공장비 등의 신규 사업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업 기반을 통해 2010년 131억원, 2011년 194억원, 2012년 247억원의 매출액을 달성해 37.5%의 높은 연평균성장률(CAGR)을 기록하고 있다.
김 대표는 "세호로보트는 국내 연성소재 자동화장비 시장 선도기업으로 글로벌 연성소재 산업 확대에 발맞춰 독자적인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다”며 “이번 코스닥 상장을 기반으로 시화 국가산업단지 신공장 증축 및 생산시설을 확충하고 기존 FPCB 장비에 대한 기능 강화 및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반도체·LED 등 신규장비 라인업 확대를 통해 제품 및 시장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향후 글로벌 연성소재 가공 전문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세호로보트는 지난 2월22일 코스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한 데 이어 오는 3월26~27일 공모청약을 거쳐 4월 초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공모예정가는 6500~7500원이며, 총 공모주식수는 110만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