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부동산대책이 발표된 지 한달이 넘었지만 전국의 중개업자들은 여전히 대책 효과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써브가 전국 부동산써브 회원 중개업소 1166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4·1대책 이후 매매거래(계약)가 늘었는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 중 53.7%(626명)가 평상시와 비슷하다고 응답했다. 거래가 줄었다는 응답은 31.8%(371명)나 된 반면 거래가 늘었다는 응답은 14.5%(169명)에 불과했다.


4·1대책 이후 매매 관련 문의가 늘었는가에 대한 질문도 평상시와 비슷하다는 응답이 45.3%(528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오히려 매도·매수 문의가 줄었다가 22.1%(258명), 모두 늘었다가 13.8%(161명), 매수 문의만 늘었다가 9.4%(110명), 매도 문의만 늘었다가 9.4%(109명)를 기록했다. 어떤 식으로든 문의가 늘었다는 응답은 모두 합해 32.6%(380명)에 불과했다.


가격(호가) 변화가 있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평상시와 비슷하다가 67.9%(792명)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가격이 올랐다는 응답은 25.8%(301명)였으며, 가격이 내렸다는 응답은 6.3%(73명)으로 적게 나타났다.

매매시장 활성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73.5%(857명)가 큰 변화 없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활성화 될 것이라는 응답은 18.4%(215명), 더 침체될 것이라는 응답은 8.1%(94명)이었다.

이는 부동산써브가 지난달 4·1대책 발표 직후 실시한 대책 평가 설문에서 전국 중개업소 599곳 중 43.6%(261명)가 다소 긍정적, 18.2%(109명)가 매우 긍정적이라고 답해 긍정적인 평가가 61.8%(370명)에 달했던 것과 비교하면 기대치가 많이 감소한 것이다.


부동산시장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추가로 취해야 할 조치에 대한 주관식 질문에는 많은 중개업자들이 6월로 종료되는 취득세 감면 추가 연장을 꼽았다. 그밖에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분양가 상한제 폐지, 공급 축소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 등이 있었다.

조은상 부동산리서치팀장은 “많은 중개업자들이 4·1대책의 효과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후속조치가 지연됨에 따라 그 효과가 반감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