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시행 전 용산의 휴대폰 매장 /사진=뉴스1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 시행 1주일 만에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하루 스마트폰 판매량이 절반 이하 수준으로 떨어진 반면 이동통신 3사의 영업이익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10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통신·전자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의 지난 1일부터 7일까지 신규·번호이동·기기변경 가입 건수는 모두 17만8000건이었다.
개천절인 3일과 주말인 4일, 5일을 0.75일로 계산하는 업계의 셈법을 적용하면 하루 평균 가입 건수는 2만8500건 정도라 볼 수 있다. 하루 평균 중고 휴대전화 가입 건수인 3000여건을 제외하면 하루 평균 새 스마트폰 판매량은 약 2만5000대로 추정된다. 지난달에 집계한 6만4000건의 40%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전반적으로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갑작스레 침체기에 들어선 모양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하루 평균 스마트폰 판매량 6만4000대의 65%인 4만2000대를 팔았으나, 이달 들어서는 전체 2만5000대의 80%인 2만대가량을 판매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LG전자 역시 지난달 1만3000대에서 이달 4000대 선으로 판매량이 급감했다.
업계는 본래 시장점유율이 높았던 삼성이 감소 규모가 가장 크지만 LG와 팬택, 외국계제조사들의 감소량도 상당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게다가 샤오미, 화웨이 등 중국의 저렴한 제품이 공세를 펼칠 것으로 보여져 국내 제조사의 어려움은 가중될 전망이다.
게다가 언론에서 삼성전자 단말기 가격이 해외와 국내에서 다르다는 보도가 나오자 삼성전자는 최근 언론을 통해 갤럭시 노트4와 갤럭시S5의 국내외 출고가를 공개하면서 해외 판매 제품이 국내 제품보다 출고가가 낮다는 오해를 진화하는데 애쓰고 있다.
예컨대 갤럭시 노트4는 미국 출고가와 국내 출고가가 비슷한 수준이지만 미국에서는 이통사가 보조금을 높게 책정하고, 국내에서는 규제 등 이유로 이통사가 보조금을 낮게 적용하기 때문에 실제 판매가격이 달라진다는 설명이다.
한편,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8일 통신서비스 분야 분석 보고서를 통해 단통법 시행으로 보조금 경쟁이 줄어들면 이통사의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35.5%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