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집 구하기가 정말 '하늘의 별 따기'예요. 월세 올려달라는 집주인이 기세등등한 이유죠. 어쩌겠어요. 돈은 있지만 물건을 찾을 수가 없는데…. 매달 허공으로 증발하는 돈이 정말 아까워 죽겠어요."

부천시 중동 A아파트에 사는 강모씨(35·여)는 요즘 밤잠을 설치기 일쑤다. 지난달부터 집주인이 월세를 20만원 올려달라며 닦달해서다. 강씨는 현재 보증금 2500만원에 월세 100만원(전용면적 134㎡)이라는 결코 적지 않은 금액을 내고 있다.

주변시세를 알아보니 인근 아파트 전셋값은 81㎡ 기준 2억원대. 그동안 모아 놓은 돈에 전세대출을 받으면 어느 정도 가능할 것 같다고 판단한 강씨는 이사를 결심했다. 하지만 그는 생각지도 못한 난관에 봉착했다. 인근 부동산중개업소를 이 잡듯이 뒤졌지만 전셋집을 찾을 수가 없었던 것.


"지난주에도 아침 일찍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고 부동산중개업소 5곳을 돌아봤는데 마땅한 게 보이지 않더라고요. 전세물건이 딱 하나 나와 있길래 남편과 상의한 후 다시 찾아갔더니 그 사이에 팔렸다고 하는데 한숨밖에 나오지 않았어요. 1시간도 채 안됐을 거에요."
 
/자료사진=뉴스1 안은나 기자

이처럼 강씨가 전셋집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은 최근 전월세시장의 변화를 감안할 때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집값 상승에 대한 낮은 기대감과 저금리기조 속에서 집주인들이 하나 같이 전세보다는 월세를 선호하고 있어서다. 실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월세거래량 중 전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1년 67.1%에서 올해 58.4%까지 떨어졌다.

그렇다면 지방으로 이사하는 것은 어떨까. 강씨는 남편의 직업 특성상 지방으로 내려가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전세의 월세전환은 비수도권에서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에서는 아파트 외 주택의 월세 물량이 전세 거래량보다 많아졌다.

"집주인들을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에요. 집값도 오를 기미가 안 보이고 은행이자보다 월세수익이 높은데 당연히 월세를 놓고 싶겠죠. 하지만 월세살이에 지친 서민들의 작은 꿈은 지켜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강씨는 결혼 6년차 주부다. 5살 아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작은 집 하나 마련하는 게 그의 소박한 꿈이다. 이제 3년도 채 남지 않았다. 하지만 월세살이로는 답이 보이지 않는다며 울상이다.

현재 대한민국은 전세가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정부가 최근 '10·30전월세대책'을 발표했지만 강씨에게는 해당사항이 없어 보인다. 정책방향이 '월세지원' 쪽으로 선회했기 때문이다. 전세가 사라지는 데 정부가 오히려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다. 전세가 사라지는 과정에서 전셋값 상승세도 이어질 전망이다. 강씨의 꿈이 이뤄지기가 쉽지 않아 보이는 이유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57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