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프로바이오틱스의 인기가 급상승 중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2014년 3월호 마켓리포트에 따르면 현재 프로바이오틱스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3년 기준 약 29조 원에 육박하였으며, 향후 과학적 증거에 대한 신뢰도 향상, 인구 고령화에 따른 관심 증대 등의 요인에 따라 2018년에는 약 43조 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시장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당연히 어떤 제품을 골라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도 늘고 있다.


㈜쎌바이오텍 세포공학연구소 서재구 박사는 “시장에 다양한 제품이 난립하고 있는데 정확한 정보를 따져 제품을 섭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균주, 코팅기술, 제조 공정 등을 꼼꼼히 살펴보고 자신의 몸에 알맞은 프로바이오틱스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라고 설명했다.

다음은 그가 말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선택법이다.

질기게 살아남는 ‘한국형 유산균’


우선 한국인의 장에서 탁월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를 지속 개발해야 한다. 유산균은 같은 종이라 하더라도 10% 이상의 유전자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식습관, 주변환경, 생활환경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유산균이 진화하고 이로 인해 장 내 생육 및 생존 능력, 성장속도 등에서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가령 서양인의 장에서 추출한 유산균의 경우 맵고 짠 음식을 즐기는 한국인의 장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여,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추, 마늘, 생강 등 향신료가 많은 음식을 먹는 한국인의 장에서 추출한 한국형 유산균을 개발, 최적의 유산균 조성 기술을 통해 한국인의 장에서 최적의 효능을 내도록 설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장까지 도달하는 ‘듀얼(이중)코팅’ 기술

유산균은 열과 수분, 위산에 약하기 때문에 제조, 보관, 섭취과정에서 파괴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결건조 과정을 거쳐 외부 환경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는 저장 안정성과 소화액에 대한 안정성을 동시에 보호해주는 듀얼(이중)코팅 기술이 필수적이다. 아무리 탁월한 효능을 가진 프로바이오틱스라도 장까지 살아서 도달하지 못하면 결국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듀얼(이중)코팅 기술은 우수한 균주로 만들어진 프로바이오틱스가 장 내에 안전하게 도달해 빠르게 활성화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유산균 종균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원스탑(One-Stop) 생산체계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 미생물이기에 원스톱(One-stop) 서비스를 통해 생산해야 한다. 원스톱 서비스란 종균 개발부터 완제품까지의 과정을 한 기업에서 총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대한 책임과 신뢰가 달려있기 때문이다. 시중에는 다양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제품이 유통되고 있지만, 이 중 적지 않은 제품들은 어디서, 어떻게 제조되었는지 출처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설사 제품에 문제가 있더라도 책임을 해당 판매업체에 물을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균 개발에서부터 생산∙제조∙유통까지 원스톱 서비스 생산체계로 철저한 관리 하에 제조되어야 한다. 덧붙이자면, 국가공인기관인 KCTC(미생물자원센터)에서 유전자 검사, 생리 및 화학적 분석을 통해 안정성과 기능성을 인정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움말=쎌바이오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