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현대자동차 제공

현대·기아차가 승용차 내수 시장에서 60%의 점유율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다.

6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기아차는 새해 첫 달인 지난달 상용차를 제외한 승용차 시장의 내수 점유율이 60.7%(현대차 31.9%, 기아차 28.8%)로 집계됐다. 수입차가 사상 최대의 실적을 거둔 지난해 현대·기아차의 월평균 내수 점유율 65.04%에 비해서도 큰 폭으로 떨어진 수치다.


현대·기아차가 새해 첫 달부터 승용차 시장에서 점유율 60%를 위협받는 것은 메르세데스-벤츠가 4367대를 파는 등 단일 브랜드 사상 최초로 월간 판매 4000대를 넘어선 것을 비롯해 수입차가 전반적으로 호조를 보이며 국내 승용차 시장 점유율을 사상 최고인 18.1%로 늘렸기 때문이다.

여기에 한국GM이 지난달 내수에서 1만722대를 팔아 점유율 9.7%로 10%선에 바짝 근접했고, 쌍용차도 신차 티볼리 효과를 앞세워 전년 같은 기간보다 판매 대수를 늘리며 점유율 6.2%로 선전한 것도 현대·기아차의 내수 점유율을 끌어내리는 요인이 됐다.

업계에서는 현대·기아차가 올해 승용차 시장에서 내수 점유율 60%를 수성하는 게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게다가 그동안 독일차에 밀려 소강상태를 보이던 미국차, 일본차, 프랑스차 등 비독일계 업체의 실적이 눈에 띄게 좋아진 점도 현대·기아차에겐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한편 현대·기아차는 트럭, 버스 등 상용차 내수 시장에서는 여전히 독점에 가까운 지위를 누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