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미분양주택 가구수. 자료제공=국토부
미분양주택이 지난 6월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부동산 시장 열기가 한풀 꺾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과 미국 금리 인상, 공급과잉, 가격상승 피로감 등 여러 변수가 맞물려 시장을 급랭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다.
최근 국토교통부는 지난 6월 기준 전국 미분양주택은 전달 2만8142가구보다 21%(5926가구) 늘어난 3만4068가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국적으로 기존 미분양주택은 3848가구 줄었지만 신규 미분양주택이 9774가구나 늘었다.

이른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주택도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다가 지난 6월 들어 다시 증가했다. 준공 후 미분양주택은 전달 1만2502가구보다 76가구 증가한 1만2578가구로 집계됐다.


규모별로는 중대형(85㎡ 초과) 미분양주택은 줄어들었지만 중소형에서는 물량이 증가했다. 85㎡ 초과 미분양주택은 8320가구로 전달 9009가구보다 689가구 감소했다. 85㎡ 이하는 전달 1만9133가구보다 6615가구 증가한 2만5748가구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지방의 미분양주택이 각각 1만6094가구, 1만7974가구를 차지했다. 수도권은 전달보다 미분양 물량이 1662가구(11.5%) 증가했다. 지방은 같은 기간 4264가구(31%) 늘어났다.

◆ 일시적 현상 VS 상승세 지속… 안개 낀 부동산 시장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경기가 12927가구(2469가구↑)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충남 3475가구(509가구↑), 강원 3373가구(427가구↑), 경남 2450가구(569가구↑), 경북 2014(1028가구↑), 전북 1588(486가구↑), 충북 1315가구(567가구↑), 부산 987가구(152가구↑) 등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17곳의 시·도 중 11곳에서 미분양주택이 증가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이달에만 5만 가구에 이르는 물량이 쏟아진다. 수도권에 전체 물량 중 70%에 육박하는 3만3763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7~8월 여름철 분양 물량으로는 2000년 이래 사상 최대 물량이다.

특히 이미 미분양주택이 산적한 경기에서는 공급물량이 집중됐다.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지난달을 기준으로 경기에 올해 연말까지 총 7만140가구가 추가로 공급된다. 일반분양분만 따져도 6만4918가구에 이른다.

전문가들이 예측한 하반기 부동산 시장은 그다지 밝지 않았다. 최승섭 경실련 부동산감사팀 부장은 "현재 실수요자의 손바뀜은 거의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며 "올해 하반기 특별한 호재가 없는 상황이어서 투기수요마저 시들해지면 시장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 팀장은 "가격상승 피로감과 과잉공급에 따른 반동으로 서울, 경기, 부산, 대구 등 상반기 호조세를 이끌었던 지역을 중심으로 하반기 분위기가 내림세로 반전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함영진 부동산114리서치 센터장은 "가계부채 대책에 신규분양 단지의 집단대출은 포함되지 않아 건설사들이 공급량을 조절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며 "이에 따라 과거와 같이 폭증하지 않겠으나 여름 비수기는 물론 가을 이사철에도 증가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도 "미분양주택이 최근 늘어난 것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분석된다"면서도 "건설사들이 내년에도 밀어내기식 분양을 이어간다면 시장에서 물량을 모두 소화할 수 없다는 의미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의 시각은 비슷한 듯 조금 달랐지만 분위기에 휩쓸린 청약은 지양해야 한다는 것에 이견이 없었다. 강승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분양은 분양성이 낮은 지방에서 분양이 늘어난 탓"이라며 "지방은 다소 보수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