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건강만족도'

경제협력개발기구에 따르면 2013년 기준 한국인의 건강 만족도는 35.1점으로 2009년 44.8점보다 더 떨어졌다고 한다. 이는 OECD 평균인 68.8점보다 20점 이상 낮은 수치로 OECD 회원국 중 건강 만족도 부문에서 꼴찌다.


우리나라 국민의 연간 노동시간은 2100시간이 넘는데 비해 개인적인 시간은 현저히 적고 자신의 건강에 신경 쓸 겨를도 없이 바쁜 일상에 치여 살아가기 때문에 건강 만족도가 낮다는 평이다.

또한 사회적으로 외모지상주의가 횡행하면서 국민 대부분 다이어트, 시술과 같은 미용엔 관심이 많지만 건강한 삶을 살기위한 노력에는 소홀한 경향이 있다. 과도한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과음, 흡연, 수면부족 등 여러 요소들이 겹쳐지면서 건강 부문 만족도가 떨어진다.

이로 인해 한국인들은 암, 뇌졸중 등의 질환에서 자유롭지 않으며 여성의 경우엔 유방암, 자궁암, 자궁근종과 같은 자궁질환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대표적인 여성 질환인 자궁근종의 경우, 환자의 수가 2010년 25만7214명에서 2014년 29만5352명으로 5년 사이 14% 증가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