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위크DB |
새누리당은 '원내 과반 의석 재확보', 불어민주당은 '여소야대(與小野大) 구도 성사', 국민의당은 '원내 교섭단체 구성'을 각각 목표로 내세워 선거대책위원회를 가동한다.
새누리당은 민생 입법의 부진을 문제삼아 '야당 심판론'을 부각한다는 방침이다. 더민주는 정부와 여당의 실정으로 민생이 어려웠다는 '배신의 경제론'으로 맞서고, 의당은 양당 체제의 담합구조를 혁파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새누리당은 이번 총선의 최소 목표를 공천 과정에서 무너진 '원내 과반' 회복으로 잡았다. 27일 기준 새누리당 의원은 146명으로 재적 의원(292명)의 절반이다.
새누리당은 과반 확보를 위해 '일하는 국회'를 구호로 내세웠다. 선거만 끝나면 언제 그랬느냐는 듯 당내 권력투쟁에 매몰되는 구태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공약은 ▲일자리 개혁 ▲청년 독립 ▲40∼50대 재교육 ▲마더센터 ▲갑을 개혁 등 핵심 5가지만 추렸다.
오는 28일 선대위를 공식 발족하고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서청원·이인제 최고위원,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5명이 공동 선대위원장을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부위원장을 맡은 다른 최고위원과 함께 5개 핵심 공약을 지키겠다는 계약서에 서명한다. 이와 함께 공약을 지키지 못하면 세비를 반납하겠다는 계약서를 쓰기로 했다.
원 원내대표는 "이번 총선은 '민생우선' 세력과 '민생외면' 세력의 대결"이라고 말했다. 야당이 민생 입법에 제동을 걸었다는 주장을 내세우면서 '야당 심판론'으로 몰고 가겠다는 전략이다.
더민주는 김종인 대표가 현행 '107석 사수'를 목표로 제시했지만 내부적으로는 130석 정도를 목표치로 거론하고 있다.
이르면 이날 선대위 체제로 전환하고 총선 구호를 '경제심판'으로 정해 민생경제를 의제로 삼는다는 방침이다. 선대위원장은 '경제민주화'를 상징하는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가 단독으로 맡는다.
또 서민경제의 실태를 점검하고 의제를 발굴할 핵심 조직으로 가칭 '경제상황실'을 설치해 비례대표 4번인 최운열 서강대 전 부총장이 지휘한다.
김 대표는 지난 25일 "이번 총선은 국민을 제대로 보살피지 못한 '배신의 경제'를 심판하는 선거"라며 여당의 '배신의 정치' 프레임에 맞불을 놓기도 했다.
더민주는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청년 일자리 70만개 창출, 공공임대 5만호, 최저임금 인상, 생활임금 확대, 이익공유제 확대 등 이른바 '더불어성장론'을 함께 제시했다.
국민의당은 '양당 정치 심판론'을 구호로 내세워 새누리와 더민주의 '담합 체제'를 '3당 경쟁 체제'로 바꾸는 정치체제 변혁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안철수·천정배·김영환·이상돈 등 4인 공동 선대위원장 체제에 비례대표 1·2번으로 지명한 신용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오세정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를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