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 유희남 할머니. /사진=뉴스1 박세연 기자

위안부 피해자 유희남 할머니가 세상을 떠났다. 향년 88세.
경기도 광주 나눔의집은 위안부 피해자 유희남 할머니(88)가 10일 오전 8시23분쯤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지병이었던 폐암으로 별세했다고 밝혔다.

충남 아산 선장에서 1928년에 태어난 유 할머니는 15살에 일본으로 강제로 끌려가는 것을 피하려고 60리를 도망 다니다 붙잡혀 1943년 일본 시모노세키로 끌려갔다. 할머니는 1년간 일본군성노예로 인간 이하의 고통을 겪었다. 이후 오사카에서 싱가포르로 이동하던 중 종전돼 오사카 주민 도움으로 귀국했다.


광복 후 보따리 장사 등으로 생계를 유지했지만 위안부 피해 후유증으로 오랜 기간 불면증과 심장질환을 겪었다.

나눔의집에 따르면 2009년 폐암 판정을 받고 2012년에 나눔에집에 들어온 할머니는 아픈 몸으로도 일본의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 피해자 명예회복을 위해 왕성한 활동을 해왔다. 

지난해 7월에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연방법원에 인도에 반한 죄와 명예훼손으로 일왕, 아베 총리, 산케이신문, 미쓰비시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기각 판결을 받았다.


2014∼2015년에는 박유하 세종대 교수의 저서 ‘제국의 위안부’ 민사소송 재판에 수차례 증인으로 출석했다. 유 할머니는 “다시는 이런 아픈 역사가 반복돼선 안 된다”며 위안부 피해 역사의 유네스코 등록을 주장했다. 미국에서 논란이 된 소녀상에 대해서도 “평화의 상징이나 자신의 분신”이라고 말해왔다.

지난해 12월에는 피해자 의사나 동의가 없는 한일 정부 합의안을 인정할 수 없다며 정부를 향한 질타도 주저하지 않았다. 

유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38명 가운데 생존자는 40명(국내 38명, 국외 2명)으로 줄었다.

슬하에 1남 3녀의 자식을 둔 유 할머니의 빈소는 국립중앙의료원 장례식장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오는 12일 오전 8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