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강남구 압구정동 재건축위원회가 재건축사업 정비계획안 발표를 두고 공공기여(기부채납) 비율·층수제한 등에서 이견을 보이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의 압구정동 재건축사업 정비계획안은 층수제한 35층에 용적률 300%, 기부채납 15% 수준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서울시는 2014년 3월 안전진단을 통과한지 2년여 만인 다음달 중순 압구정 재건축 정비계획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현재는 용적률과 층수, 가구수, 기부채납 비율 등 전체적인 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앞으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계획안이 완성되면 주민설명회 및 주민공람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시 정비계획을 주민들이 수용하면 향후 조합원 구성 및 시공사 선정 등을 거쳐 재건축사업이 단계별로 진행되지만 주민들은 서울시의 계획에 반발하고 있다.


먼저 주민들은 기부채납 비율을 15% 이하로 줄여야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오세훈 전 서울시장 시절에도 기부채납비율을 25%로 제안했다가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혀 무산된 바 있다.

압구정 현대아파트 주민들로 구성된 올바른재건축준비위원회는 최근 ‘압구정 현대아파트 주민설명회’에서 “서울시의 예상안인 기부채납 비율 15%는 형평성에 어긋나고 비합리적”이라며 “주민들의 재산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만큼 이보다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층수제한에 대한 목소리도 높였다. 재건축위원회 관계자는 “지상 층수를 35층으로 획일적으로 제한할 게 아니라 평균 45층 이상 초고층도 허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민들의 반발에 대해 서울시 측은 “여러 전문가들과 관련 내용을 총체적으로 검토 중이라 아직 아무것도 확정된 것은 없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압구정 현대아파트.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