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사진=머니투데이DB
금융당국이 한진그룹 재무 실태조사에 나설것을 주문했다.
21일 금융권과 해운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채권은행에 한진그룹 계열사 여신 현황을 파악해 제출하라고 통보했다.
금감원은 특히 여신을 신용과 담보로 구분해 꼼꼼히 살펴보고 담보 설정을 제대로 했는지 여부도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을 은행에 요구한 상태다. 금감원이 은행권에 특정기업 재무현황을 파악하라고 주문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한진그룹의 은행권 여신은 약 8조원에 달한다. 이중 한진해운이 3조5000억원을 차지하고 대한항공은 약 4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이번 조사에서 담보설정이 제대로 안잡혀 있거나 특혜성 논란이 불거질 경우 대출 조기상환을 비롯해 추가대출 규모도 줄일 수 있어 한진해운 입장에선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금융당국이 이처럼 한진해운을 압박하는 이유는 법정관리에 들어선 한진해운발 물류대란을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직접 나서 수습하라는 의미가 담겼다.
앞서 조 회장은 사재 400억원과 대한항공 600억원 등 총 1000억원 규모를 한진해운에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대한항공의 경우 이사회의 반대에 부딪혀 아직까지 600억원을 지원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진해운 발 물류대란 사태는 점점 커지고 있어 이를 교통정리 하기 위해 정부가 조 회장에 대한 압박용 카드를 꺼낸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출지원을 줄이면 대한항공을 비롯해 한진그룹 전 계열사가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면서 "조 회장 입장에선 어떤 식이든 대한항공 이사회를 설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금감원 측은 "(한진그룹 재무조사는) 은행의 건전성을 점검하는 취지"라고 일축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