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전경. /자료사진=뉴스1

한진해운의 법정관리행으로 발발한 물류대란으로 인해 부산항이 연간 695억원 규모의 피해를 입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7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이 부산항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부산항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은 수출입화물 936만3396TEU과 환적화물 1010만5318TEU 등 1946만8725TEU를 기록했다.

이 중 한진해운이 차지하는 비중은 수출입화물 76만3975TEU(8.1%)에 환적화물 104만8962TEU(10.3%)를 더한 181만2937TEU(9.3%)인 것으로 파악됐다.


부산항만공사는 지난해 기준으로 한진해운이 부산항에서 처리한 환적화물 총 104만8962TEU의 50%인 52만4481TEU 이상의 환적화물이 이탈할 것으로 예상했다. 예상되는 연간 피해규모는 지난해 선박료 76억5200만원에 환적화물 이탈로 인한 피해 산출액인 618억9100만원을 더한 695억4300만원에 달하는 규모다.

박 의원은 실제 피해규모는 공사의 예상보다 더 클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한진해운이 소속돼 있던 CKYHE 얼라이언스의 환적화물이 더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한진해운을 제외한 CKYHE 소속 나머지 4개 선사가 부산항에서 처리한 환적화물량은 42만6058TEU로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환적화물의 대량이탈을 막기 위해 211억원 규모의 인센티브 지원 확대 방안을 내놓고 4개 동맹선사 본사를 긴급방문 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실제로 CKYHE에서 이탈할 환적화물량은 미지수인 상황이다.


박 의원은 “부산항만공사가 향후 예상 환적화물 이탈량을 2015년 환적화물량의 50%로 산정하고 있는 것은 이번 사태를 너무 낙관적으로 보는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며 부산항만공사의 보다 적극적인 대비책 마련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