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취학 아동들은 평균 4.7세부터 사교육을 시작하며, 평균 3.2개 과목의 사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11월 8일부터 11월 13일까지 미취학,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509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에 따르면 학부모의 74.3%는 취학 전 자녀에게 사교육을 시킨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고, 사교육을 시작한 나이는 평균 4.7세부터인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처음 시작한 사교육으로는 ‘한글’(42.9%)이 가장 많았으며, ‘창의력 놀이’(19.6%), ‘영어’(17.5%)가 뒤를 이었다. 자녀가 취학 전 받은 사교육 과목(복수응답)에 대해 묻자 ‘국어∙한글’(62.4%)을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영어’(52.4%), ‘미술’(50.8%), ‘수학∙숫자’(41.0%), ‘블록∙가베 등 창의력놀이’(31.2%), ‘음악’(30.4%), ‘수영∙태권도∙발레 등 체육’(29.6%), ‘한자’(16.4%), ‘독서’(9.8%), ‘사회∙과학’(1.6%) 순으로 응답했다. 미취학 아동들은 평균적으로 3.2개 과목의 사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학 아동들이 사교육을 받는 시간은 하루 평균 1시간 16분인 것으로 집계됐다. 취학 전 참여해 본 사교육의 종류(복수응답)로는 ‘학습지’(78.0%)’가 가장 많았고, 이어 ‘학원’(56.6%), ‘개인과외’(21.7%), ‘그룹과외’(9.8%), ‘온라인 강의’(6.1%) 순이었다.

학부모는 취학 전 자녀의 사교육에 월 평균 25만 8천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비용을 가장 많이 들이는 과목은 ‘영어’(39.4%)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의 경험이 있는 부모의 82.0%는 자녀의 사교육비에 지출하는 비용이 부담된다고 응답했는데, 지출 비용이 부담되지만 계속해서 사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이유(복수응답)는 ‘자녀가 뒤쳐질까봐 불안해서’(54.2%)라고 답했다. 이어 ‘학습 습관을 길러 주기 위해서’(37.4%), ‘장기적으로 고려했을 때 학습 효과가 있을 것 같아서’(36.1%), ‘주변 학부모들이 대부분 사교육을 시키고 있어서’(23.9%), ‘공교육만으로는 충분치가 않아서’(19.7%), ‘남는 시간을 허투루 보내고 싶지 않아서’(18.1%), ‘자녀가 사교육 받기를 원해서’(13.9%) 순이었다.

초등학교 입학 전에 꼭 선행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과목(복수응답)으로는, ‘국어∙한글’(62.4%)이 1순위로 꼽혔다. 이어 ‘영어’(49.2%), ‘수학∙숫자’(47.6%), ‘블록∙가베 등 창의력놀이’(21.4%), ‘미술’(16.4%), ‘독서∙논술’(14.8%), ‘수영∙태권도∙발레 등 체육’(9.8%), ‘음악’(7.4%), ‘한자’(6.6%), ‘사회∙과학’(1.6%) 순이었다.

자녀가 취학하기 전 사교육을 시킨 경험이 없는 학부모는 25.7%로, 사교육을 시키지 않은 이유(복수응답)로 ‘공교육만으로도 그 나이에 필요한 것들 것 충분히 배울 수 있어서’(43.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엄마표 교육으로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수준이라서’(38.2%), ‘너무 어릴 적부터 시작했다가 오히려 공부에 대한 거부반응이 생길까봐’(32.8%), ‘사교육비 부담 때문에’(28.2%), ‘아이가 사교육 받는 것을 싫어해서’(4.6%) 순이었다.

한편, 공교육 과정에서 한글∙수학 수업을 강화한다면, 자녀가 취학하기 전 해당 과목의 사교육을 시키지 않을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 묻자 65.6%는 ‘그렇다’고 응답했다.

반면 34.4%의 학부모는 ‘아니다’라고 대답했는데, 그 이유(복수응답)로 ‘한글과 수학은 기본이기 때문에’(60.0%)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다른 아이들은 미리 선행학습을 하고 올 것 같아서’(43.8%), ‘취학 전 학습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34.6%), ‘입학 전 좀 더 심화된 내용을 학습하게 하기 위해서’(16.2%), ‘학교에서 우리 아이가 남들에 비해 뛰어났으면 해서’(6.2%), ‘아이가 한글∙수학을 학습하기 원해서’(4.6%) 순으로 답했다.
<이미지제공=윤선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