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넥스원에 따르면 앞으로 7년간 진행되는 ‘현궁’ 양산사업 총 규모는 약 1조원으로 육군과 해병대에 단계적으로 전력화될 예정이다.
보병용 중거리 유도무기 ‘현궁’. /사진=LIG넥스원
‘현궁’은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2007년부터 약 9년에 걸쳐 개발됐으며 현재 우리 군이 사용 중인 ‘토우’, ‘Metis-M’ 등의 대전차무기를 대체하게 된다.
국방과학연구소는 ‘현궁’의 성공적 개발과 안정적 생산을 위해 LIG넥스원을 포함한 국내 270여개의 방위산업체 역량을 총집결시켰다. 이를 통해 11개 핵심 구성품의 국산화에 성공해 95%에 달하는 높은 국산화율을 달성했다.
‘현궁’은 지금까지 개발된 유사 무기체계 중 가장 작고 가벼워 운용이 쉽고 탄두관통력, 유효사거리, 광학성능, 탐지·추적성능 등 모든 면에서 선진국 동급 무기(미국 ‘재블린’, 이스라엘 ‘스파이크’ 등) 대비 월등한 성능을 자랑한다.
이효구 LIG넥스원 부회장은 “‘현궁’ 양산은 우리 군 전력 강화는 물론 국내 방산기술 기반 확보 및 중소 방산기업 육성 차원에서도 의미가 큰 사업”이라며 “이번 초도생산 계약을 계기로 안정적인 양산 및 전력화를 위해 더욱 노력하는 한편 해외 주요 국가에 수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