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명숙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이 오늘(7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박근혜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여명숙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이 박근혜 대통령 지시로 미래창조과학부 문화창조융합본부장직에서 부당하게 해임됐다는 추측이 사실인 것 같다고 밝혔다.
여 위원장은 7일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이하 국조특위) 2차 청문회에 참석해 “김종덕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해임 통보를 했다”고 말했다.
여 위원장은 “해임의 표면적인 이유는 게임물관리위원회 업무 폭증 때문에 복귀하라는 것이었지만 이유를 다시 물으니 박근혜 대통령이 전화해 내려보내라고 했다더라”고 말했다. 그는 “그간 사실인지 확실하지 않았지만 오늘 청문회에 와보니 진실인 것 같다”는 의견을 밝혔다.
여 위원장은 지난 4월 문화창조융합본부장에 취임했다가 5월30일 사임, 이후 차은택씨가 본부장에 올랐다. 차씨에 대해 여 위원장은 “게임업계에서 일하면서 차은택씨가 문화산업을 좌지우지하고 있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고도 말했다.
또 여 위원장은 “최근 게임업계와 국정농단이 연관을 갖고 있다는 제보를 들었다”며 “게임업계는 규모가 작아 그동안 전경련에서 관심 가지고 있지 않았는데 이례적으로 지난 2~4월에 전경련에서 연락이 왔고 이를 거부하자 공짜로 회원을 해주겠다고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여 위원장은 “게임업계는 살아있는 생명체 같고 국내 2800만 이용자가 금방 반응을 하기 때문에 잘못하면 맞아죽기 때문에 거절했다”며 “규제 완화와 관련해 전경련의 제의가 들어왔다고 알고 있는데 정밀한 검토가 필요해 조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