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소녀상 철거. 부산 동구청장 박삼석. 29일 오후 부산 동구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한 여학생이 동구청에서 철거해 간 소녀상을 되돌려 줄 것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 피켓에는 '일본 앞잡이 동구청장 박삼석 나와라!'라고 적혀 있다. /사진=뉴시스

부산 동구청이 소녀상 철거 문제로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어제(28일)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에서는 시민들이 가설치한 소녀상을 동구청이 행정대집행을 실시해 철거하는 일이 있었다.
'미래세대가 세우는 평화의 소녀상 추진위원회'는 이날 지난해 12월 체결된 한일 위안부 합의 1년을 맞아 집회를 열어 일본에 사과를 촉구하고 영사관에 항의서한을 전달한 뒤 소녀상을 기습설치했다.

당초 이들은 소녀상을 이날 설치하고 제막식을 열 예정이었으나 관할구청인 부산 동구청의 불허 방침으로 31일로 식을 미룬 상태였다. 그러나 동구청의 입장에 변함이 없어 이날 기습설치를 시도한 것이다.


건립 불허 방침을 고수해온 부산 동구청은 결국 소녀상을 도로법상 무단적치물로 판단해 행정대집행을 통해 압수했다. 이 과정에서 소녀상을 둘러싸고 대치하던 시민 13명이 연행되기도 했다.

앞서 박삼석 부산 동구청장(새누리당)은 소녀상 건립 소식이 전해진 뒤, 모리모토 야스히로 일본 총영사로부터 소녀상 건립을 반대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전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본 영사관 측이 이 서한에서 “일본 국민의 마음에 큰 상처가 된다”, “일본인의 한국 방문객 수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등의 발언을 담아 크게 논란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동구청은 도로법 시행령 상 도로점용 허가를 받은 공작물이 아니라는 이유로 소녀상 건립을 허가하지 않고 있다. 게다가 소녀상을 이날 아예 압수해 31일 제막식을 열 예정이던 추진위와 지속적인 갈등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29일) 철거 소식이 전해지면서 항의도 잇따랐다. 동구청으로 전화가 빗발친 것은 물론, 홈페이지 역시 사람들이 몰려 이날 오후3시 현재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다.

한편 2011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 세워진 이후 위안부 평화비(소녀상)는 전국 40여곳에 설치됐다. 형태도 다양하다. 이번에서 부산에 설치가 시도된 소녀상과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은 앉아 있는 형태지만, 인천 부평공원에는 주먹을 쥐고 당당하게 걸어나가는 모습의 소녀상이 있다.

전북 정읍시 역시 어제 위안부 합의 1년을 맞아 시민 모금으로 제작된 소녀상을 설치했다. 해외에서도 위안부 평화비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미국 로스앤젤레스, 호주 등에 소녀상이 설치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