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위안부 합의.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지난 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한일 위안부 합의와 관련,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오늘(29일)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연속성 있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황 권한대행은 이날 서울 종로구 한 식당에서 열린 오찬간담회에서 "우리 마음에 100% 드는 합의를 했으면 좋았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다시 협상해 달라고 해도 일본이 응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위안부 협상 문제는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간 협의를 거쳐서 결정된 것이라는 점에서 연속성 있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가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황 권한대행은 "위안부 합의의 핵심은 일본 정부의 책임과 최고 책임자의 사죄, 이것에 대한 이행 조치였다"며 "일본이 처음으로 일본 정부의 책임을 인정하고, 군의 관여가 문제가 있다고 인정했다. 또 아베 총리가 사죄하고 합의의 이행 조치로써 10억엔을 보낸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모든 국민이 원하는 '(일본에게) 발가벗고 나와라'식 합의가 되면 제일 좋았을 것"이라면서도 "(외교적) 합의는 상대방이 있는 것이다. 정부가 당시에 모든 것을 잘할 수는 없었지만 핵심적인 부분은 그렇게 정리했다"고 말했다.

황 권한대행은 "지난해 12월28일 합의 당시 (위안부 할머니) 46분이 살아 계셨다. 1년이 지나고 일곱분이 돌아가셨다. 언제까지 합의를 끌어야겠는가"라며 "정리할 것은 정리하면서 미래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