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사장은 이날 오전 9시 37분쯤, 최 부회장은 9시 51분쯤 서울 대치동 특검사무실에 모습을 드러냈다. 두 사람은 관련 의혹에 대한 취재진의 쏟아지는 질문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고 조사실로 이동했다.
이들은 일단 참고인 신분으로 특검에 조사를 받으러 나왔지만 조사 과정에서 신분이 피의자로 전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삼성그룹의 최고위급 임원인 최지성 미래전략실 실장과 장충기 미래전략실 차장이 9일 오전 서울 강남구 대치동 박영수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뉴스1
최 부회장은 삼성그룹의 2인자로 삼성이 최씨 일가에 대한 각종 지원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권을 쥐고 있던 핵심 경영진 중 한명이다.
장 차장은 삼성의 대외업무를 총괄하는 최고위급 임원으로 최씨 일가에 대한 지원에 직접적으로 관여했을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이에 따라 특검팀은 최 부회장과 장 사장을 상대로 최씨 일가 지원 배경과 대가에 대해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최씨 일가 지원 사실을 사전에 보고받았는지 여부도 조사할 계획이다.
특검팀은 국민연금공단이 2015년 7월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과정에서 찬성표를 던진 게 최씨 일가 지원 대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규명하기 위해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삼성은 미르·K스포츠재단 204억원 출연과 별개로 최씨 소유 회사와 220억원의 지원 계약을 맺고 이중 35억원가량을 송금했다. 또 최씨 조카 장시호씨 측에도 16억원가량을 지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 삼성은 대통령과 비선실세의 강요에 따른 피해자라는 입장이다.
특검팀이 박근혜 대통령과 비선실세들의 뇌물죄 적용을 위한 키로 삼성의 자금 지원을 의심하고 있는 만큼 박 대통령 직접 조사에 앞서 삼성의 오너경영자인 이 부회장 소환조사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