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스마트폰 원격 사후서비스(AS)를 고객 맞춤형으로 제공한다고 9일 밝혔다.

LG전자는 올해 1분기부터 스마트폰 원격 AS에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빅데이터 분석 등 최첨단 AI기술을 순차적으로 도입한다.


AI는 스스로 데이터를 모으고 분석하며 해결책을 찾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사후서비스가 더욱 정교하고 빨라질 전망이다.

인공지능이 탑재된 원격 AS 앱 가상 이미지. /사진=LG전자

구체적으로 LG전자는 올해 휴대폰의 상태를 스스로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스마트 닥터’ 애플리케이션에 AI를 적용한다. 이 앱에 AI를 탑재하면 빠르고 정확한 진단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IT기술 인지 수준에 따라 맞춤형 가이드를 제공한다.
‘스마트 닥터’의 진단항목도 기존 대비 약 40% 늘렸다. 이에 따라 총 36개 항목에 대해 꼼꼼하게 관리해주며 발열, 소모 전류, 네트워크는 물론 배터리, 센서 등 하드웨어의 상태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된다.

이와 함께 LG전자는 ‘퀵 헬프’, ‘LG전자 원격상담’ 등 스마트폰 원격서비스에 기본 대비 수십 배 빠르고 정확해진 최신 로그 분석기법을 적용한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오류를 분석하는 속도는 빨라지고 정확도도 높아진다.

‘퀵 헬프’ 앱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하루 24시간 언제든지 전문가와 1:1 채팅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원격 수리서비스를 지원하는 ‘LG전자 원격상담’ 앱은 고객이 AS센터를 가지 않고도 편리하게 진단을 받을 수 있게 해 준다. 이 사용자가 앱을 사용하면 원격 수리를 마친 후 로그 분석 결과와 수리 내역 등을 보고서 형태로 받아 볼 수 있다.

조준호 LG전자 MC사업본부장(사장)은 “고객 편의성 측면에서 AS의 품질도 제품 품질만큼 중요하다”며 “고객의 관점에서 편리하고 믿을 수 있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