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도 순성(巡城)놀이라는 것이 있었다. 새벽에 도시락을 싸들고 5만9500척(尺)의 전구간을 돌아 저녁에 귀가했다. 도성의 안팎을 조망하는 것은 세사번뇌에 찌든 심신을 씻고 호연지기까지 길러주는 청량제의 구실을 하는 데 부족함이 없다. 현재 서울은 도성을 따라 녹지대가 형성된 생태도시의 면모를 보여주기에 충분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복원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해설은 과거와 현재의 대화다. 수년간 한양도성을 해설한 필자가 생생하게 전하는 도성 이야기를 소개한다. <편집자주>
궁궐에 우유를 공급하는 목장이 있어 타락산(駝酪山), 2개 봉우리가 낙타의 등을 닮아 낙타산이라고도 불린 낙산(駱山)은 조선시대 내내 풍수지리설에 시달렸다.
한양의 좌청룡에 해당하는 낙산은 해발 125m며 우백호에 해당하는 인왕산은 338m다. 좌청룡은 우백호에 우선하며 남자와 장자를, 우백호는 여자와 차자 등 지손을 관장한다. 이런 이유로 좌청룡이 우백호에 눌려 조선왕조의 장자승계가 원만치 못했고 지손과 외척이 득세했다는 설이 전해진다. 실제로 적장자의 왕위승계는 27명 중 문종·단종·연산군·인종·현종·숙종·경종 등 7명에 불과하며 제대로 업을 이룬 왕은 숙종뿐이다. 다른 왕은 일찍 죽거나 반정으로 쫓겨났다.
한양 천도 초기 무학대사는 인왕산을 주산으로 삼고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을 동쪽으로 내는 것을 주장했다. 하지만 당시 권력을 쥔 정도전 세력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에 무학대사는 “200년 뒤 경복궁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너희들이 알겠느냐”며 개탄했고 그의 예언처럼 200년이 지나 임진왜란을 겪으며 경복궁, 창덕궁 등 궁궐이 불에 타버렸다.
또한 풍수지리에 밝았던 하륜은 연세대학교 뒷산인 안산(또는 무악)을 주산으로 삼자고 한 것으로 알려진다. 시간이 흘러 세종 때는 풍수지리가 최양선이 창덕궁 뒤 응봉을 주산으로 내세웠는데 낙산 밖 안암(고려대학교 뒷산)이 좌청룡이 돼 조정이 안정될 것이란 주장이었다.
◆이화마을의 풍경과 사적
낙산정에서 내려오면 동쪽 성곽 밖으로는 창신동, 서쪽 성안으로는 이화동을 내려다볼 수 있다. 도성 안 높은 지대에서 도성 안팎의 경치를 감상하는 감회가 새롭다. 남쪽으로는 남산 너머 관악산이 손짓한다. 관악은 외사산(外四山)의 하나다. 북쪽의 북한산, 남쪽의 관악산, 동쪽의 용마산과 아차산, 서쪽의 덕양산을 일컬어 외사산이라고 한다.
이화동 언덕에서 처음 마주하는 동네는 1950년대 말 이승만 대통령 시절에 지은 국민주택단지인데 지금은 사람이 살지 않는 집이 많다. 당시 기술로는 2층에 온돌을 놓을 수 없어 1층에만 온돌을 놓고 2층은 다다미방으로 만들었다. 언뜻 보면 일제강점기의 적산가옥이나 일본식 후생주택으로 오인하기 쉽다.
이런 곳에서 따스한 정취가 느껴지는 건 독특하다. 옛 서민 마을의 골목길이 그립고 획일화된 아파트문화에 식상해졌기 때문이다. 이 동네 골목 담장과 축대에는 여기저기 벽화가 그려졌다. 이른바 벽화마을이며 꽃그림골목이라고도 한다.
이화마루텃밭에선 배추와 무, 고추, 상추를 가까이서 만질 수 있고 행인들이나 마을 사람들이 간이정자에 앉아 정담을 나누는 정겨운 모습도 볼 수 있다. 성곽 밑으로는 암문이 마치 터널처럼 뚫렸다. 낙산구간의 두번째 암문이다.
마을 골목마다 화분이 즐비하다. 텃밭 바로 앞 작은 마을박물관 건물 벽은 각양각색의 도시풍경을 그린 벽화가 펼쳐졌는데 어느 날 전체가 사라졌다. 구경꾼들이 그곳에서 사진을 찍으며 소란을 떨자 마을사람들이 없애버린 것. 천사의 날개, 하늘로 오르는 무지개길 벽화도 사라졌다. 너도 나도 천사의 날개를 타고 하늘나라로 오르는 사진을 찍느라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부산을 떨던 곳이다. 그 앞에 서면 한동안 사라진 벽화가 떠오른다.
낙산 서쪽 자락의 이화장(梨花莊, 사적 제 497호)은 신숙주의 손자이며 조선 중종 때 문신이었던 신광한의 옛집이다. 광복 후 미국 망명생활을 끝내고 귀국한 이승만은 처음 성북구 동소문동에 있는 돈암장(敦岩莊)에서 1945년 10월부터 약 2년간 거처했다. 그곳을 나와 마포장(馬浦莊)에서 2개월 정도 머문 뒤 1947년 11월 이화장으로 옮겼다. 이곳은 그가 대통령에 올라 경무대로 들어가기 전까지 살았던 곳으로 별채에서 대한민국 초대내각을 구성했다. 현재 이승만의 양자 내외가 거주하며 이승만 기념관으로 사용된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 사거리에서 이화동 사거리까지 약 1km에 이르는 길을 1985년 5월5일에 대학로라고 이름 붙였다. 낙산을 배경으로 한 이 길은 원래 실개천이 흐르던 곳이었다. 서울대학교 문리대와 법대를 관악캠퍼스로 옮기기 전 1960년대와 1970년대부터 대학생과 젊은이들이 많이 모여들었던 곳으로 군사정권에 대항하는 시위가 자주 일어났던 곳이기도 했다. 1980년대 들어 군사정권에 반대하는 학생운동이 빈번하게 일어나면서 학생들을 회유할 목적으로 대학로를 조성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창신동의 사적 지장암
2번째 암문과 3번째 암문 사이 창신동 성곽길가에 지장암(地藏庵)이라는 작은 절이 있다. 그곳 대웅전 삼신불상 중 중앙에 보물 제1621호 서울 지장암 목조 비로자나불좌상이 있다. 이는 광해군의 정비인 장열왕후가 광해군과 세자, 공주 등 왕실가족과 친정부모의 천도를 위해 원봉안처인 자인수양사(왕실의 부녀자들이 출가 수행하던 사찰)에 봉안했던 것이다. 당시 11존의 불상과 불화 중에서 비로자나불좌상이 유일하게 남았다.
낙산구간의 세번째 암문을 빠져나오는 순간 왕족은 다시 평민의 신분으로 돌아간다. “왕족에서 평민으로 돌아오니 섭섭하십니까”하고 물으면 “앞으로 군역이며 부역 등 얼마나 고생을 많이 해야 할지 생각하면 머리가 아플 지경”이라고 너스레를 떠는 이도 있다.
산사나무 붉은 열매가 흐드러지게 맺혀 발길을 멈추게 하고 느티나무와 단풍나무의 선연한 단풍이 누구나 어린아이로 만드는 성곽길을 내려온다. 단풍의 순정한 빛깔이 초심으로 돌아가게 하는 순수성을 보여주기 때문일 것이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설합본호(제472호·제473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