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화이트리스트. 6일 박영수 특별검사를 비롯한 특검팀이 서울 강남구 대치동 사무실에서 최종 수사결과 발표를 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
전경련이 화이트리스트도 관리했다는 의혹이 나왔다. 어제(6일) 특검의 수사결과 발표 내용에는 박근혜정부가 블랙리스트와 함께 전경련을 통해 화이트리스트도 관리한 정황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검은 문화계 블랙리스트 수사를 통해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을 구속하는 등 성과를 냈다. 또 수사결과 발표에선 정부가 특정인물에게 불이익을 주는 블랙리스트 뿐만 아니라, 특정 단체에 지원을 몰아주는 화이트리스트도 관리한 의혹이 드러났다.
화이트리스트 의혹은 앞서 언론 보도를 통해 몇차례 불거졌다. 정부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를 통해 특정 성향 단체에 지원을 했다는 것이다. 조사 결과 박근혜 정부는 특정 단체에 활동비를 지원할 것을 청와대 정무수석실을 통해 전경련에 요구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검 수사에 따르면 청와대 정무수석실은 전경련 임원들에게 특정단체의 단체명과 지원금 액수까지 지정해줬고, 전경련은 총 68억원을 이 요구에 따라 지원했다. 전경련은 2014년 청와대에서 지정한 22개 단체에 24억원을 지원했고, 2015년에는 31개 단체에 약 35억원, 2016년 22개 단체에 약 9억원을 지원했다.
특검은 관련자 진술도 확보했다고 밝혔다. 특검 조사에서 전경련 임직원들은 "청와대 관계자들이 특정단체에 대한 활동비 지원을 강요했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특검의 수사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주요 인물 구속 등 성과를 낸 블랙리스트 사건과 달리 더 이상 수사를 진척시키지 못해,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이 수사를 계속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