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0~2017 1분기 분양실적 추이(단위: 가구). /자료=닥터아파트
장미대선을 비롯한 대내외 불확실성이 가중되며 1분기(1~3월) 아파트 분양실적이 지난해 보다 22%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29일 부동산 리서치회사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올 1분기 전국에서 분양한 아파트 물량은 72개단지 3만1730가구로 조사됐다(주상복합 포함. 임대아파트 제외).
이는 전년 동기(103곳 4만808가구) 대비 22.2% 줄고 2년 연속 감소한 수치다.
분양실적이 줄어든 데는 1순위 청약자격과 전매제한을 강화한 11·3 부동산대책 여파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잔금대출 규제, 탄핵정국에 이은 대선정국이 숨 가쁘게 이어지며 건설사들이 분양시기를 늦췄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11.3 대책 전후로 조정장세로 돌아선 주택시장 영향도 컸다.
1분기 분양실적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은 지난해 보다 18.9% 줄어든 24개단지 1만1815가구가 분양됐다.
수도권은 서울과 경기의 감소폭이 컸다. 특히 경기는 6672가구에 그쳐 지난해 보다 40.9%나 줄었고 서울도 33% 줄어든 1663가구에 그쳤다.
경기는 공공택지 분양물량이 줄어든 게 컸다. 하남 미사강변도시, 남양주 다산신도시 분양이 거의 마무리 됐으며 화성 동탄2신도시도 올 들어 분양물량이 줄었다.
서울은 11·3 대책으로 전 지역이 청약조정대상지역으로 선정되고 정비사업 대출보증이 철거후로 늦춰지며 일반분양 시기가 늦어졌다.
한편 1분기에 전 평형이 1순위(해당지역)에 마감된 단지는 72곳 중 25곳(34.7%)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는 103곳 중 32곳이 1순위에서 마감됐다.
1분기 분양단지 중 청약경쟁률(평균) 상위 10곳을 보면 올해도 분양시장이 뜨거운 부산이 1· 2위를 차지했다.
부산진구 연지1-2구역을 재개발하는 연지 꿈에그린의 청약경쟁률이 228.2대 1로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해운대구 중동3구역(도시환경정비사업)을 재개발하는 해운대 롯데캐슬 스타(57.9대 1)가 차지했다.
이밖에 부산은 5위에 전포 유림노르웨이숲(47.8대 1), 10위에 명지국제신도시 C2블록 사랑으로 부영 등 모두 4개단지가 상위권에 올랐다.
수도권에선 송파 오금지구 1단지(공공분양)가 53.8대 1(전체 3위)로 경쟁률이 가장 높았다. 또 지난 3월 첫 분양을 시작한 평택 고덕국제신도시의 고덕파라곤이 49.3대 1로 전체 4위를 차지했다. 고덕 자연앤자이(공공분양)도 28.7대 1로 7위를 기록했다.
김수연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올 1분기 분양실적이 줄었지만 5월9일 대선 이후 정비사업 중심으로 분양물량이 쏟아질 것”이라며 “분양시장이 중도금 및 잔금 대출 규제에다 전매제한 강화로 내 집 마련 실수요시장으로 재편되고 있어 단타를 노린 청약은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