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우수건축지도 개발 예시. /사진=국토부
우리나라 곳곳에 있는 건축자산 정보가 한 데 모아져 이를 관리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날이 멀지 않았다. 국토교통부는 ‘건축자산 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시범사업을 서울, 경기, 전남(목포·영암)을 대상으로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책연구기관인 건축도시공간연구소와 함께 추진하는 사업으로 지난 4월5일 지자체 공모를 마감했다.
국토부는 연말까지 시범 사업을 완료하고 내년에는 전국으로 범위를 확대해 건축자산 정보를 한 데 모아 보존·활용할 계획이다.
이번 시범 사업은 건축자산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건축자산을 보존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해 관광 등에 활용하기 위한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행된다.
법률에 따르면 현재 건축자산 정보체계 구축은 광역지방자치단체장(시·도)이 시행하도록 돼 있지만 기술, 예산, 전문성 등의 문제로 광역지자체가 건축자산 정보를 구축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를 고려해 주무 부처인 국토부는 건축도시공간연구소와 함께 보유한 기술 및 자산목록, 인적자원을 활용해 이번 사업을 적극 지원한다.
시범 사업은 ▲건축자산 담당자 역량강화를 위한 공무원 교육 ▲해당 지자체에서 보유 중인 건축자산 정보의 현행화(아날로그 자료 디지털화 및 시스템에 기록) ▲수집 자료 분석을 통한 건축자산 콘텐츠 기획·개발 ▲사업 모니터링 및 시스템 운영·관리의 4단계로 추진된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건축자산 통합관리 기반을 형성, 이를 참신한 아이디어로 활용해 콘텐츠를 발굴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