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용새우 인공번식. 크기 6㎝ 의 클리너슈림프 성체(왼쪽)와 크기 3㎝의 인공 생산된 새끼 새우 단계의 클리너슈림프. /사진=뉴스1(국립수산과학원 제공)

국내연구진이 관상용새우 인공번식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인공 번식시킨 관상용 바다새우 ‘클리너슈림프’를 치하(새끼 새우) 단계까지 길러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클리너슈림프는 어류에 붙어 있는 기생충이나 입 속 찌꺼기를 먹이로 삼는 독특한 습성 때문에 '바닷속 치과의사'라는 별명을 지닌 새우다. 밝은 선홍색과 흰색이 어우러진 화려한 외양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고부가가치 관상생물이다.

마리당 가격은 약 3만원 수준이며, 연간 30만마리 이상 거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동안 호주·미국 등 각국에서 클리너슈림프를 양식 생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나 유생 단계에 머물렀고, 완전 탈피체인 치하 단계까지 길러내는 데 성공한 사례는 아직 보고된 바 없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2년4개월 동안 '클리너슈림프 인공번식기술 개발 연구'를 진행해, 유해세균 제어 등 클리너슈림프 양식 성공을 어렵게 했던 요인들을 해결했으며, 세계 최초로 양식 생산한 클리너슈림프 2마리를 치하 단계까지 길러내는 데 성공했다.

수과원은 이번에 치하 단계까지 성장한 2마리를 비롯해 약 2000여 마리의 초기 유생 등을 기르고 있으며, 앞으로 양식 치하가 어미새우로 성장하면 이 새우로부터 2세대 양식새우를 생산하는 '클리너슈림프 완전양식'을 시도하고 대량생산 기반을 구축할 것으로 알려졌다.

강준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그동안 양식이 어려웠던 클리너슈림프를 비롯한 해수관상생물 양식 핵심 기술을 확보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고부가가치 해수관상생물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선도적인 위치를 점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