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장관 후보자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스1
강경화 외교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렸다. 강경화 후보자는 각종 논란에 대해 해명하는 한편 북한 인도지원, 사드 배치 문제 등 외교 현안에 대한 정책 질의에도 답변을 내놨다.강 후보자는 이날 북한 관련 질의에 "북한의 핵개발에 대한 안보리 제재가 시작된 지금 상황이 더 엄중한 만큼 한미공조, 주변국과의 협의가 더욱 절실하고 중요하다"며 기본적인 접근방향을 설명했다.
이어 "북이 계속 무장을 강화하고 도발하면 압박 제재가 강화될 수 밖에 없고 주민들의 어려움도 심화될 것"이며, "북한에 핵 무장의 길을 포기하고 대화길로 나오면 안정되고 경제발전이 보장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달해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 후보자는 "북한 주민과의 교류 취지는 공감하지만 그 방법에 있어 국제사회 제재틀이 훼손 안되는 범위 내에서 이뤄져야 한다. 유엔을 통해 인도 지원을 모색하는 것이 첫 조치가 될 수 있다"고 구체적인 교류 방안에 대한 설명도 내놨다.
강 후보자는 최근 보고 누락 사태로 논란이 증폭되고 있는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에 대해서는 국회 논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국회 공론화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국회를 통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강 후보자는 "사드 문제의 핵심은 배치 과정에서 국내의 공론화가 부족해 공감대를 얻지 못한 것"이라며 국회 논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또 "어느 쪽으로 결론을 내야 하는지 예단해서 방향을 말하는 것은 어렵다. 다만 국회의 공론화 과정을 통해 의원들의 지혜를 모아주길 바란다"며 거듭 국회에서 사드 배치 문제가 논의되어야함을 강조했다.
강 후보자는 개성공단 문제에 대해서는 "남북 간의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를 쌓고 남북 경제교류협력의 첫걸음이 된다는 데에는 동감한다. 향후 비핵화가 진전되고 국제사회의 대북 기조 변화 등 여건이 조성되면 재가동이 본격화 될 수 있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