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이주열 총재는 지난 13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올해 경제성장률을 2.6%에서 2.8%로 상향 조정했다. 이 총재는 금통위 이후 가진 기자간담회서 "소비 증가세가 여전히 미흡하다"고 밝히면서도 "국내경제 전반의 성장세가 견실해졌다"고 말해 금리인상 시기가 다가오고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이 총재는 '견실하다'는 표현이 가까운 시일 내에 통화정책 기조를 바꾼다는 시그널은 아니라고 설명했지만 시장에서는 한은이 금리 인상에 반발짝 더 다가선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미 전세계는 금리인상 분위기에 들어섰다. 최근 미국에 이어 캐나다가 기준금리를 인상을 단행했고 유럽과 영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도 경기반등에 힘입어 수년간 이어왔던 양적 완화를 축소할 조짐이다.
전문가들은 금리인상이 확실시된다고 밝히면서도 연내 인상될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가계부채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금리를 올리면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이 더 커져 서민들의 부담이 가중된다.
가계부채는 올해 1분기 말 기준으로 1360조원에 달한다. 명목 국내총생산(GDP)과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각각 91%와 153%를 넘어 매분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사실상의 총량 관리를 하고 있지만 2분기 이후에도 가계부채 증가세는 지속되고 있다.
전 금융권의 가계부채 증가폭은 1분기 15조3000억원에서 2분기 25조1000억원으로 확대됐다. 특히 5월 이후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가격이 들썩이면서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늘고 있다.
6월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은 4조3000억원으로 5월(3조8000억원)에 비해 크게 확대됐다. 정부가 6·19 부동산대책을 통해 과열 지역의 대출 규제를 강화했지만 부동산 경기는 진정되지 않는 모습이다.
증권가 한 관계자는 "국내 경기여건이 아직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며 "정부가 가계부채 문제를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지 더 지켜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증권가 관계자는 "결국 가계부채가 문제"라며 8월 가계부채 대책을 지켜보고 한은이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