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5·6호기. 이관섭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17일 세종시 한 식당에서 신고리 원자력발전 5·6호기 건설 일시중단 관련 기자 간담회를 갖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관섭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17일 신고리 원자력발전 5·6호기 백지화 여부를 가릴 공론화 진행 과정과 관련해 "공사 영구중단을 막기 위해 적극 방어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이날 세종시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한수원 입장에서 신고리 5·6호기에 1조6000억원을 투자했는데 건설이 취소되면 피해가 크니 경영진의 입장에서는 계속 짓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그는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겪었듯이 우리 국민들도 원전 안전성에 대한 걱정이 크다"며 "공론화 기간 동안 설비 개선 노력, 충분한 자료 제공 등으로 국민들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 사장은 3개월 간의 공사 일시중단 기간 중 건설사 피해 보상 문제에 대해 "손실 피해가 업체로 넘어가지 않도록 충분히 보상하겠다는 것이 한수원의 기본 입장"이라며 "일시중단 결정 전에 근로자 대표들을 만나 협력을 부탁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공사 일시중단 상황에 대해서는 "원자로 건물의 마지막 기초(3단)단계만 원자로 안전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공사를 진행하고, 1000여명의 근로자 중 800여명은 근무할 수 있도록 업체와 일부 협의를 마쳤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지난 14일 일시중단 결정을 위해 열린 이사회 당시 이사진 13명 중 유일하게 공사 일시중단 반대표를 던진 조성진 이사가 "영구중단은 이사들 모두 반대하기로 했다"고 전한 데 대해 "뜻 전달이 잘못됐다"고 해명했다.
그는 "조 이사 발언 논란은 공론화 후 영구중단 결과가 나오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는 뜻"이라며 "뜻이 잘못 전달되면서 조 이사가 상당히 곤혹스럽다는 뜻을 밝혔고 다른 이사진들도 뜻에 맞는 설명을 당부했다"고 전달했다.
앞서 한수원은 지난 13일 예정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기간 중 공사 일시중단 계획'에 대한 이사회가 노조와 일부 주민의 반발로 무산되자 이튿날 오전 8시쯤 경북 경주시 본사가 아닌 경주시 한 호텔에서 긴급 이사회를 열어 공사 일시중단을 의결했다.
13명 이사진(사내이사 6명·사외이사 7명) 가운데 사외이사 1명(조성진 이사)을 뺀 나머지 12명의 찬성으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발족하는 시점부터 3개월 동안 공사를 중단한다'는 내용을 의결했다.
이 사장은 3개월 간의 공사 일시중단 기간 중 건설사 피해 보상 문제에 대해 "손실 피해가 업체로 넘어가지 않도록 충분히 보상하겠다는 것이 한수원의 기본 입장"이라며 "일시중단 결정 전에 근로자 대표들을 만나 협력을 부탁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공사 일시중단 상황에 대해서는 "원자로 건물의 마지막 기초(3단)단계만 원자로 안전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공사를 진행하고, 1000여명의 근로자 중 800여명은 근무할 수 있도록 업체와 일부 협의를 마쳤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지난 14일 일시중단 결정을 위해 열린 이사회 당시 이사진 13명 중 유일하게 공사 일시중단 반대표를 던진 조성진 이사가 "영구중단은 이사들 모두 반대하기로 했다"고 전한 데 대해 "뜻 전달이 잘못됐다"고 해명했다.
그는 "조 이사 발언 논란은 공론화 후 영구중단 결과가 나오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는 뜻"이라며 "뜻이 잘못 전달되면서 조 이사가 상당히 곤혹스럽다는 뜻을 밝혔고 다른 이사진들도 뜻에 맞는 설명을 당부했다"고 전달했다.
앞서 한수원은 지난 13일 예정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기간 중 공사 일시중단 계획'에 대한 이사회가 노조와 일부 주민의 반발로 무산되자 이튿날 오전 8시쯤 경북 경주시 본사가 아닌 경주시 한 호텔에서 긴급 이사회를 열어 공사 일시중단을 의결했다.
13명 이사진(사내이사 6명·사외이사 7명) 가운데 사외이사 1명(조성진 이사)을 뺀 나머지 12명의 찬성으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발족하는 시점부터 3개월 동안 공사를 중단한다'는 내용을 의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