쑹타오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 부장이 17일 북한 평양 만수대 홀에서 최룡해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에게 말하고 있다. /사진=뉴시스(AP 제공)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겸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총서기의 특사로 북한을 방문한 쑹타오 공산당 중앙위원회 대외연락부 부장이 지난 19일 금수산태양궁전을 방문했다.
쑹 부장은 이날 2박3일의 방북을 마무리하고 중국에 돌아갈 예정인 가운데, 김정은 국무위원회 위원장과의 면담 소식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앞서 쑹 부장은 지난 17일 최룡해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18일 리수용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만나 제19차 당대회 결과를 설명하고 양국 간 주요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0일 "19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습근평(시진핑) 동지의 특사인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대외연락부장 송도(쑹타오) 동지와 일행이 (금수산태양궁전을 찾아) 경의를 표시하였다"고 보도했다.
중앙통신은 "특사는 방명록에 '조선인민의 위대한 수령이시며 중국인민의 친근한 벗이신 김일성 동지와 김정일 동지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을 표시합니다'라는 글을 남기었다"고 선전했다.
이어 "(특사) 송도 동지가 19일 우의탑에 꽃바구니를 진정하였다"며 "총서기 특사 일행과 리진군 주조(주북) 중국특명전권대사, 대사관 성원들이 여기에 참가하였다"고 전달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쑹 부장은 최룡해, 리수용 등과 면담한 것으로 조선중앙통신 등에서 보도했다"며 "다만 쑹 부장이 김정은과 면담을 했다든지 시 주석의 친서 전달을 했는지 여부 등은 아직 보도되거나 확인되지 않고 있어 추후 관련 동향을 계속 살펴보겠다"고 설명했다.
백 대변인은 과거 중국 공산당 총서기 특사 자격으로 방북한 인사가 북한의 최고 권력자를 만나지 못한 경우를 묻는 질문에는 "좀 더 확인해봐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17차, 18차 중국 공산당 당대회 직후 온 특사는 김정일, 김정은을 만났다"며 "그때 당시에는 1박2일 일정이었는데 이번에는 체류가 길어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저희가 관련 동향을 면밀히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0일 "19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습근평(시진핑) 동지의 특사인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대외연락부장 송도(쑹타오) 동지와 일행이 (금수산태양궁전을 찾아) 경의를 표시하였다"고 보도했다.
중앙통신은 "특사는 방명록에 '조선인민의 위대한 수령이시며 중국인민의 친근한 벗이신 김일성 동지와 김정일 동지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을 표시합니다'라는 글을 남기었다"고 선전했다.
이어 "(특사) 송도 동지가 19일 우의탑에 꽃바구니를 진정하였다"며 "총서기 특사 일행과 리진군 주조(주북) 중국특명전권대사, 대사관 성원들이 여기에 참가하였다"고 전달했다.
한편 통일부는 이날 쑹 부장이 김 위원장을 만났는지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쑹 부장은 최룡해, 리수용 등과 면담한 것으로 조선중앙통신 등에서 보도했다"며 "다만 쑹 부장이 김정은과 면담을 했다든지 시 주석의 친서 전달을 했는지 여부 등은 아직 보도되거나 확인되지 않고 있어 추후 관련 동향을 계속 살펴보겠다"고 설명했다.
백 대변인은 과거 중국 공산당 총서기 특사 자격으로 방북한 인사가 북한의 최고 권력자를 만나지 못한 경우를 묻는 질문에는 "좀 더 확인해봐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17차, 18차 중국 공산당 당대회 직후 온 특사는 김정일, 김정은을 만났다"며 "그때 당시에는 1박2일 일정이었는데 이번에는 체류가 길어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저희가 관련 동향을 면밀히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