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지열발전소 지진. /사진=포항시 제공
경북 포항시 지열발전소의 최근 2년간 물 주입 및 배출 작업 등으로 인해 포항시 인근에 63차례에 걸쳐 소규모 지진이 발생했으며 이 중 10차례가 규모 2.0 이상인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영일 국민의당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포항 지열발전소에서 지난해 1월29일부터 올해 11월15일까지 총 443회에 걸쳐 물 주입(73회)과 배출(370회)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2016년 41회(규모 2.0 이상 8회), 2017년 22회(규모 2.0 이상 2회) 등 총 63차례 소규모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이 공식 발표한 포항 내륙 지진 발생의 경우 모두 발전소 물 주입 이후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2016년 12월15일에서 22일까지 3681톤의 물을 주입한 직후 다음날 규모 2.2 지진이 일어났다. 같은 해 12월26일부터 28일까지 226톤의 물을 주입한 직후 다음날 규모 2.3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 3월25일부터 4월14일까지 2793톤의 물을 주입한 직후 다음날 규모 3.1, 규모 2.0 지진이 일어났다.
이후에도 물 주입이 계속되며 진동이 감지되자 포항 지열발전소 측은 지난 9월18일 물 주입 작업을 멈췄지만, 지난 1일까지 물 배출 작업은 계속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에도 물 주입이 계속되며 진동이 감지되자 포항 지열발전소 측은 지난 9월18일 물 주입 작업을 멈췄지만, 지난 1일까지 물 배출 작업은 계속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지난 4월15일 관측된 규모 2.0 이상 지진 2건의 경우 지난 15일 발생한 포항 지진 발생 위치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지진 주무 부처인 기상청은 이런 내용을 전혀 모르고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포항 지열발전소 측은 물을 주입하고 배출할 때 진동이 발생하고 지각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자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지진 발생 여부를 측정해 오고 있다.
포항 지열발전소 측은 물을 주입하고 배출할 때 진동이 발생하고 지각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자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지진 발생 여부를 측정해 오고 있다.
포항 지열발전소가 2014년 작성한 '미소진동 관리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소규모 지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나 국내에는 명확한 관리 방안이 없어 포항 인근의 지진 이력과 단층 분포 등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적시됐다.
윤 의원은 "63차례의 지진 발생은 대규모 지진 발생에 대한 충분한 사전경고였을 수 있다. 주무 부처인 기상청이 이런 사실을 몰랐다는 것은 직무유기"라며 "지열발전소는 세계적으로도 아직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지금이라도 사업을 당장 중단하고 범정부 차원에서 철저한 안전성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