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시장 대출규제가 임박하면서 막바지 분양물량을 잡으려는 실수요자의 움직임이 클 것으로 관측된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DB
최근 부동산시장에서 가장 큰 화두는 바로 신 총부채상환비율(DTI) 시행이다. 10·24 부동산대책에 따라 모든 가계대출의 가능 여부 및 한도를 결정짓는 DTI의 새로운 산정 방식이 내년 1월부터 적용되기 때문.11일 업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추가로 받을 경우 기존 주담대의 이자만 부채에 포함돼서 대출 한도가 산정됐다.
하지만 새해부터는 기존 주담대의 원금과 이자가 모두 부채에 포함돼 산정되는 만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주담대 금액은 큰 폭으로 줄어든다. 또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역시 내년 1분기 시범 운영 후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규제에 나설 예정이다.
DSR 산정 시 신용대출부터 자동차할부, 마이너스통장, 중도금, 이주비 대출 등까지 모두 합산하는 만큼 여러 건의 대출을 받은 채무자의 대출 문턱은 더욱 높아진다.
이로 인해 다주택자가 추가 대출을 받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더불어 정부는 빚을 내 부동산 투기에 나서는 일명 ‘갭 투자’ 세력도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 앞으로 추가 연체 가산금리 산정체계 개편, 소액장기 연체채권 정리 방안, 정책 모기지 개편 등 가계부채 종합대책의 후속 대책을 예고한 만큼 부동산시장 전망은 더욱 갈피를 잡기 어렵게 됐다.
업계 관계자는 “내년부터 신 DTI 및 DSR 적용이 예고된 만큼 부동산시장에서 투기 세력의 설 곳은 앞으로도 꾸준히 축소될 전망”이라며 “상황이 이렇다 보니 새로운 규제가 시행되기 전인 올 연말 막바지 분양 희소성이 높아졌고 덩달아 실수요는 물론 투자자들도 연말 분양시장의 알짜배기 단지를 찾아 발 빠르게 움직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