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대북특사를 파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오후 청와대에서 주재하는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한미 정상회담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 대한 입장과 향후 비핵화 논의 진전을 위한 외교정책을 구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문 대통령이 이날 대북특사 파견에 대해서도 언급할 가능성이 있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 14일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이 내일 이번 한미정상회담과 김 위원장 연설에 대해 코멘트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대북특사 이슈에 대해 언급도 할 예정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하노이 북미회담 이후 멈춰선 대화를 조속히 재개하고, 한미정상회담의 내용을 김정은 위원장과 공유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대북특사로 유력하게 점쳐지는 인물은 정의용 안보실장과 서훈 국정원장이다.
이에 대해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대북특사로 기존 외교안보 라인의 연장선에 있는 사람들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며 "외교안보 라인을 교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 원내대표는 또 "강력한 비핵화 의지와 대북압박을 제시하는 메신저를 (대북특사)로 보내줄 것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정은 위원장은 제14기 최고인민회의 1차회의 시정연설에서 "남조선당국은 오지랖 넓은 '중재자' '촉진자' 행세를 할 것이 아니라 민족의 일원으로서 제정신을 가지고 (미국에 대해) 자신이 할 소리는 당당히 하면서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는 당사자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