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개장한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사진=뉴스1

부산 해운대·송정·송도 해수욕장이 지난 1일 개장했다. 이에 정부는 지난 2일 ‘2019년 해파리 피해방지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해수부와 국립수산과학원, 각 지방자치단체 등은 해파리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해 해파리의 이동 및 확산경로를 미리 살핀다. 관측정보는 인터넷과 모바일 앱 등을 통해 어업인과 일반 국민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아울러 국민들이 해파리를 적극적으로 신고할 수 있도록 해수욕장 이용객이 가장 많은 7~8월에 해파리 신고자 1팀(2명)을 추첨해 우수해양관광상품 무료 체험기회를 제공한다.


해수부는 해파리가 대량으로 출현하면 중앙 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지침에 따라 단계별로 대응한다. 특히 주의보 이상 발령 시에는 해수부 수산정책실장이 상황 관리의 총책임자가 돼 대응상황을 관리한다.

해파리를 유생 단계부터 제거하기 위해 인천, 경기, 경남 해역에 10억원을 투입해 해파리 유생 제거사업에 나선다. 또 8개 시도의 해수욕장은 해파리 유입 방지막을 설치해 해수욕장 이용객의 안전을 확보한다.

해파리로 수산 양식물과 어업의 피해가 발생하면 합동 피해조사를 실시해 복구비를 지원한다. 피해어가의 경영안정을 위해 영어자금 상환기한 연기 및 이자감면, 안정자금 지원 등에 나선다.


최완현 해수부 수산정책실장은 “유관기관 간 협력을 통해 해파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며 “국민들도 해파리 발견 시 즉시 신고하는 등 적극 동참해줄 것으로 당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