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를 혹평하는 외신 보도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8일 잼버리 현장 모습. /사진=로이터
지난 5일(이하 현지시각)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에 관한 영국 방송매체 스카이뉴스 보도다. 잼버리의 준비 미흡을 지적하는 보도는 영국 매체 가디언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가디언은 지난 9일 잼버리를 "최악의 악몽"으로 묘사하며 잼버리 대원들이 폭염과 텐트 침수, 비용이 많이 드는 철수 등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로이터도 지난 4일 17세 아들을 새만금 잼버리에 보냈다는 미국인 크리스틴 세이어스의 말을 인용해 "이번 잼버리에 참가하기 위해 아들이 6500달러(약 850만원)를 지불했다"며 "아들의 꿈이 악몽으로 바뀌었다"고 전했다.
━
외신 "韓, 잼버리 준비 미흡 경고등 무시" 지적━
사진은 지난 9일 전북 부안군 잼버리 경관 쉼터에서 바라본 야영지 모습. /사진=뉴스1
WP는 잼버리 첫날인 지난 1일 정부가 폭염 위기경보 수준을 '심각' 단계로 상향 조정했음에도 잼버리 조직위원회(조직위)가 긴급 지원으로 이어질 수 있는 '폭염 경고'를 지정하지 않았다고 짚었다. 정부가 폭염 위기경보 수준을 '심각' 단계로 상향 조정한 것은 4년만이었다.
공금 횡령 의혹 관련 외신 보도도 나왔다. 프랑스 매체 르몽드는 지난 10일 '정치적 스캔들로 번진 스카우트 대회'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대회 조직과 운영을 위해 1171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는데도 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고 꼬집었다.
━
"2019년·2015년 잼버리 외신 보도, 모두 긍정적"━
사진은 지난 2019년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에서 열린 잼버리 관련 보도. /사진=미국 방송매체 WITN
지난 2015년 일본 야마구치현에서 열린 잼버리에 대한 보도도 대부분 긍정적이다. 당시에도 벌레 물림과 온열환자 등 피해가 발생했으나 이번 새만금 잼버리처럼 준비 미흡을 지적하는 외신 보도는 찾기 어려웠다. 야외 행사 특성상 과거에도 환자가 발생했으나 이번 새만금 잼버리 만큼 심각하지는 않았다는 방증이다. 이번 잼버리가 국격 훼손에 영향을 줬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외신뿐 아니라 트위터 등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도 이번 잼버리에 대해 분통을 터뜨리는 글이 다수 올라왔다. 한 네티즌은 트위터를 통해 "기대했던 한국의 모습이 아니었다"며 실망감을 드러냈다. 또 다른 네티즌은 "준비가 안된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며 잼버리 조직위의 준비 미흡을 짚었다.
━
네티즌 "끝없는 재난… 분노 치밀어"━
네티즌은 트위터를 통해 잼버리 준비가 미흡한 점에 아쉬움을 표했다. /사진=트위터 캡처
해당 네티즌의 글에 따르면 일부 남학생 잼버리 대원들은 대학교 여자 기숙사를 배정받았다. 문제는 해당 대학 학생들이 이 같은 사실을 뒤늦게 공지받은 것이다. 또 다른 외국인 네티즌은 "한국 정부가 미흡한 잼버리 준비를 K팝으로 무마하려는 것 같아 화가 난다"고 분노를 표했다.
이처럼 한국에 실망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불행중 다행'인 소식도 들려왔다. 한국을 떠나기 직전 서울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K-컬처'를 체험하며 분위기가 반전된 것이다.
━
"K-컬처로 분위기 반등… 기쁜 마음으로 출국"━
사진은 잼버리 타이완 대표단 단장 차이치렁씨(왼쪽). /사진=김태욱 기자
조직위의 이번 잼버리 미흡 지적에 대해 그는 "한국 측이 잼버리를 내년(2024년)으로 연기할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안다"며 "지난 도쿄올림픽처럼 1년 연기됐다면 오히려 도움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은 지난 8일 '스니커즈 언박스드 서울'을 찾은 잼버리 대원들 모습. /사진='스니커즈 언박스드 서울' 정준영 총괄메니저 제공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